▲ 용산 대통령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파면 이틀째인 오늘(5일)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퇴거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퇴거 시기는 일러야 내주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리할 것도 많고 준비할 것도 많은 것으로 안다"며 "적어도 이번 주말은 넘겨야 퇴거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7년 3월 10일 탄핵 인용 이후 이틀이 지난 3월 12일 일몰 후 청와대 관저를 떠나 삼성동 사저로 향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서초동 사저로 옮길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윤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취임 후에도 한남동 관저 정비가 끝날 때까지 대통령경호처의 경호를 받으며 6개월가량 이곳에서 출퇴근했습니다.
이미 경호가 이뤄진 장소인 만큼 경호 계획 수립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다만, 서초동 사저가 주상복합인 탓에 경호동 설치가 쉽지 않고 윤 전 대통령 부부가 키우는 반려동물이 많아 다른 장소를 물색 중이라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경호처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이주할 장소가 결정되면 관련 법률과 규정 등에 따라 경호 활동을 시행할 것"이라면서도 "아직 퇴거 계획을 통보받은 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전직 대통령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대통령이 재직 중 탄핵 결정을 받아 퇴임한 경우에도 전직 대통령에 대한 경호·경비는 유지됩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오늘(5일) 운영이 중단됐습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현재 대통령실 홈페이지 서비스 점검 중입니다.
점검 기간 동안 홈페이지 서비스가 일시중단됩니다'라는 안내문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페이스북·인스타그램·X 등 소셜미디어(SNS) 계정의 안내문도 전날까지는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입니다'로 표기됐으나, 오늘(5일)부터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입니다'로 변경됐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직무 정지 이후 일요일마다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이 주재하던 실장-수석비서관 회의도 내일(6일)에는 열리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