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에는 집회 현장을 연결해 보겠습니다. 탄핵 찬성 쪽 집회 현장에 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전연남 기자, 찬성 쪽은 오전에 안국역에 모여 있었는데, 시청역으로 자리를 옮겼나 보군요. 현장 분위기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저는 시청역 7번 출구에 나와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저녁 7시부터 탄핵 찬성 측 시민들이 모여 촛불 콘서트를 이어갈 예정인데요.
벌써부터 이곳에서는 흥겨운 노래가 이어지고 있고요, 또 피켓을 든 집회 참가자들도 제 뒤로 속속 자리를 채우고 있습니다.
앞서 오전에는 탄핵 찬성 집회 참가자들이 서울 안국역 일대에 모여 있었는데요.
선고가 시작되자, 대형 스크린으로 다 함께 마음을 졸이며 탄핵 선고 생중계를 지켜봤습니다.
오전 11시 22분 문 권한대행이 시간을 확인하고 만장일치로 파면을 결정한다고 밝혔을 때는 곳곳에서 박수와 함께 큰 환호성이 터져 나왔습니다.
축제 분위기 속에 집회 참가자들은 광화문 인근으로 다 같이 행진했습니다.
<앵커>
지금 헌법재판소 주변의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경찰은 선고를 앞두고 헌재 주변 150m를 진공 상태로 만들었는데요.
낮 2시부터는 헌재 바로 앞을 제외한 안국역 일대 차단벽들을 모두 해제한 상황입니다.
또, 무정차 통과와 폐쇄 조치가 이뤄졌던 헌재 인근 3호선 안국역도 오늘(4일) 오후 4시 반부터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앞서 경찰은 오늘 새벽부터 전국에 최고 경비 단계인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서울 도심의 210개 기동대 약 1만 4천 명을 비롯해 형사 기동대, 대화 경찰 등을 배치했는데요.
저녁 6시부터는 서울에서 한 단계 낮춰 을호비상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다른 시도 경찰청의 경우 경계 강화 상태로 변경해, 경찰관들의 비상 연락 체계와 출동 대기 태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변경했습니다.
<앵커>
한남동 관저 앞에는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좀 모였었다고 했는데, 지금은 해산을 했다고요?
<기자>
선고가 이뤄질 무렵 경찰 비공식 추산으로 1만 5천 명까지 몰렸던 지지자들은 현재는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선고 이후에도 2천 명 정도 남아 헌재 결정을 규탄하는 발언을 이어갔는데, 오후 3시쯤 공식 해산을 선언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어젯밤부터 밤새워 집회를 벌였고 오전 10시부터는 전광훈 목사를 포함해 관저 앞 도로를 가득 채울 정도로 많이 모이기도 했습니다.
본격적인 선고가 진행되기 전까지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계엄이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만큼 각하나 기각이 확실하다며 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하지만 오전 11시 22분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소식이 전해지자 큰 탄식과 함께 충격에 빠졌고 일부 지지자들은 눈물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영상취재 : 한일상·제일·배문산, 영상편집 : 신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