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탄핵 찬반 집회 현장 보셨던 것처럼 광장에 모인 사람들의 목소리는 여전히 둘로 쪼개져 있습니다. 어떤 결론이 나오더라도 갈등이 봉합되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 정치권이 먼저 결과를 승복하겠다는 약속하고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고 정치 원로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김기태 기자입니다.
<기자>
여야 지도부 모두 "어떤 결과든 승복하겠다"고 말해왔습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3월 13일) : 저는 이미 여러 차례 헌법재판소의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표 (3월 12일, 채널A '정치시그널') : 승복은 당연히 해야죠. 민주공화국의 헌법 질서에 따른 결정들을 그걸 승복 안 하면 어떻게 할 겁니까.]
하지만, 오늘(1일)도 국민적 불복 운동을 주장하는 등 원하는 결과가 아니면 불복하겠다는 으름장들이 정치권에서는 적잖습니다.
당사자인 윤석열 대통령은 탄핵심판 승복 여부에 대해 직접 입장을 낸 적이 없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지난달 17일, "선고 전에 승복 여부에 대한 입장을 낼 계획이 없다"고 했습니다.
정치 원로들은 정치권이 여전히 자신들이 원하는 결과가 아니면 불복하려는 것 아닌지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겠다고 말합니다.
[정의화/전 국회의장 : 오직 당리당략만 있고 자기주장만 있는 것 같아서 굉장히 우려스럽습니다. 결과가 어떻게 되든 우리 모두가 다 승복하는 자세를 가지기를 바란다.]
[문희상/전 국회의장 : 마지막 민주주의의 보루는 승복에 있다고. 이것은 증명이 필요 없는 공리 같은 거예요. 승복하지 않으면 민주주의 자체가 제도적으로 무너진다니까.]
여야가 진영 논리를 앞세워서 헌재 결정을 예단하는 상황도 지지층이 결과를 승복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오는 4일, 탄핵 인용이든, 기각이나 각하든 정치권부터 나서 지지층을 향해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해 결과를 받아들이자고 설득해야 합니다.
(영상취재 : 이재성, 영상편집 : 전경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