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 방침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속속 돌아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등록 자체가 아닌 수업 참여도를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장훈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대와 연세대 등 이른바 '빅5' 의대를 비롯해 의대마다 복귀 행렬이 이어졌습니다.
제적 위기가 코앞으로 닥치면서 미등록 투쟁이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다, "각자의 선택을 존중받아야 한다"는 의대생들의 실명 성명이 나온 것 등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관건은 실제 수업 참여율입니다.
상당수 의대에서 복학생 보호를 위해 비대면 수업을 병행하기도 했는데, 수강을 철회하는 경우도 있어 실제 수업을 듣는 비율이 50%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대생 단체는 그제(30일) 등록 후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하기도 했습니다.
[비수도권 의과대학 학생 : 제적이 실제로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돼서 돌아간 것뿐이니까 학생들이 갑자기 수업에 정말로 복귀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업 거부가 유급은 물론, 제적까지 이어질 수 있다"면서, "내년 모집인원 동결의 조건은 등록금 납부가 아니라, 정상 수업"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의대 총장들은 최대한 출석을 유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해우/동아대 총장·의총협 공동회장 : 정상적으로 수업을 해야만 2026년도 (의대) 정원을 3천58명으로 하겠다고 했는데 그게 무산돼 버리면 사실 지금까지 했던 게 효과가 없죠. 좀 심각성을 받아들여야 되는데….]
교육부는 다음 주 이후, 최종 복귀율을 집계해 내년도 모집인원을 판단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 신세은, VJ : 신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