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푼 가슴으로 야구를 보기 위해 야구장을 찾았던 평범한 20대 여성이 말 그대로 마른하늘에 날벼락 같은 사고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프로야구 2년 연속 천만 관객' 도전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지만, 지금은 사고 원인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재발을 방지하는 게 우선이라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마산동부경찰서에 따르면 NC 다이노스와 LG 트윈스의 경기가 열린 지난 29일 경남 창원NC파크 3루 측 매점 인근에서 추락한 구조물에 맞아 머리를 다친 관중 A 씨가 사고 이틀 만에 숨졌습니다.
건물 외벽에 붙어 있던 외장 마감 자재인 알루미늄 소재의 '루버'가 낙하해 관람객을 덮쳤습니다.
이 사고로 A 씨는 중환자실에서 치료받다가 숨졌고, A 씨의 동생은 쇄골이 부러져서 치료 중입니다.
나머지 1명은 다리에 타박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O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희생자와 유족에게 머리 숙여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내일(1일)부터 3일까지를 애도 기간으로 정하고, 특히 내일은 희생자를 추모하며 KBO리그와 퓨처스리그 경기를 모두 진행하기 않기로 했습니다.
무관중으로 열릴 예정이었던 창원(SSG-NC) 경기는 3연전 모두 연기하기로 했고, 잠실과 수원, 대전, 광주 경기는 4월 2일부터 재개한다고 덧붙였습니다.
KBO와 10개 구단은 또 전 구장 안팎의 시설물과 구조물의 안전성을 경기에 앞서 철저히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2022년부터 시행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제3장 '중대시민재해'에 해당합니다.
공중이용시설 또는 공중교통수단의 관리상의 결함을 원인으로 해서 발생한 재해 가운데 ▲ 사망자가 1명 이상 ▲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하면 중대시민재해로 적용됩니다.
이번 사고는 사망자가 발생했고, 공중이용시설(창원NC파크)의 설치·관리상 결함이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고, 법인에도 50억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됩니다.
KBO 사무국은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이 도입된 이후 각 구단에 야구장이 해당 법령에 적용되는 시설이라는 점을 고지 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책임 소재는 추후 경찰 조사 등을 통해 가려야 합니다.
해당 구조물이 정당한 이유로 설치됐는지, 시설 관리 부분에 문제가 없었는지 창원시설공단과 NC 구단을 들여다봐야 합니다.
박근찬 KBO 사무총장은 "사무국 차원에서는 현재 법적인 부분을 따져 묻는 게 우선은 아닌 상황"이라며 "급한 것들부터 정리하는 게 먼저"라고 밝혔습니다.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사무총장을 지냈던 김선웅 법무법인 지암 변호사는 "결국 문제가 된 구조물을 누가 달았는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면서 "어떤 이유로 설치했고, 관리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습니다.
야구계 안팎에서는 고질적인 안전불감증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안전 관리에 소홀해 이러한 참사가 벌어졌다고 입을 모읍니다.
KBO 사무국 관계자는 "이번 사고가 리그 흥행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말을 아끼면서 "사무국 차원에서도 후속 조처 마련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