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북한, '원격 대학' 교육 강조…"김책공대 등록 근로자만 수만 명"

김책공대에서 늘어나는 원격대학생 (사진=조선신보, 연합뉴스)
▲ 김책공대에서 늘어나는 원격대학생

북한이 지방공장 건설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숙련 노동자 확충을 위해 사이버 교육에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최근 보도에서 "올해 들어 수많은 근로자들이 전국 대학의 원격교육체계에 새로 편입됐다"고 전하며, 원격대학 운영 현황을 조명했습니다.

북한의 원격대학은 우리나라 사이버대학과 유사한 형태로, 전공 교육보다는 노동자와 농민, 기관 종사자들에게 실무 기술을 교육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원격대학은 2010년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시범 운영된 이후, 2020년 최고인민회의에서 '원격교육법'이 채택되며 법적 근거도 마련됐습니다.

현재 김책공업대학 외에도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숙천농업대학, 계응상사리원농업대학, 평양의과대학 등 전국 각지로 확대돼 운영되고 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올해 김책공업대학의 원격교육학부에는 금속, 기계, 자동화, 열공학, 전기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수만 명'의 근로자들이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과거 보도를 보면, 원격대학 수강생은 2022년 말 1만여 명 수준에서 2023년 5월에는 13만 1천 명으로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김책공대에서 늘어나는 원격대학생

북한은 PC나 스마트폰을 통한 '언제 어디서나' 수강이 가능하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단말기 보급률이 낮은 지방에서 '원격교육거점'이나 공장·기업소 내 '과학기술 보급실'을 통해 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3년 5월 노동신문은 "우리나라에는 일하면서 배우는 전민학습체계인 원격교육체계가 정연히 세워졌다"며, "과학기술 보급거점을 통해 근로자들이 과학기술 지식을 마음껏 습득하고 있다"고 선전했습니다.

북한은 최근 지방발전 전략인 '20×10 정책'을 적극 추진하면서 지방 노동자들의 원격대학 참여도 장려하고 있습니다.

김책공대와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의 원격교육학부 지원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을 조선중앙통신, 노동신문, 선전매체 내나라 등 북한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노동신문은 원격대학 교수진이 "지방공업공장을 관리 운영할 기술인재, 기능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근로자들의 학습 열기와 탐구 열정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도 "전국의 수많은 지역과 단위의 간부들과 종업원들이 중앙과 지방의 대학에서 원격교육을 받으며, 현대 과학기술을 갖춘 지식형 근로자와 과학기술 인재로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조선신보,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