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일부 의대생 "일단 등록"…수업 정상화 '미지수'

<앵커>

각 대학들이 내건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이 하나둘씩 마감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정말로 제적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일단은 등록하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권지윤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대 의대는 오늘(27일) 오후 5시 1학기 등록을 마감했습니다.

학생회가 어제 실시한 투표에선 66%가 일단 등록하겠다고 응답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서울대 의대는 최대 2주간 비대면 수업을 한다며 복학생들에게 학사 일정을 공지했습니다.

앞서 21일 등록 마감하고 제적 예정 통지서를 보낸 연세대에선, 의대생 비대위가 어젯밤 늦게 '등록 후 휴학'으로 투쟁 방식을 바꾼다며 긴급 공지 문자를 보냈습니다.

실제 제적 처리를 하루 앞두고 미등록 투쟁에서 등록 휴학으로 방향을 급선회한 겁니다.

학생 70% 이상이 복귀 의사를 밝힌 걸로 알려졌습니다.

서울대와 연세대를 뺀 38개 의대 학생 협회는 '독단적인 행동'이라고 비판하면서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는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고 계속 투쟁할 것"이라며 내부 결속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복귀 결정은 다른 의대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한 비수도권 의대에서도 학생 절반 이상이 등록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비수도권 의대생 : (주위에선) 혹시 복귀시한이 끝난 이후에라도 추가적으로 복학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있어요.)]

시한 연장 문의가 많다 보니, 이미 등록 마감한 일부 대학에서는 추가 등록도 받아주고 있습니다.

[수도권 의대 관계자 : (복귀 시한 연장 같은) 그런 움직임이 그런 문의 같은 게 (계속) 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등록이 곧바로 수업 정상화로 이어질진 미지수입니다.

대다수가 일단 제적은 피하되, 등록 후 휴학이나 수업 거부에 나설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당초 교육부가 26학년도 정원 동결의 전제로 내건 '전원 복귀와 수업 정상화'에 배치되는 부분입니다.

[이해우 동아대 총장/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공동회장 : (정상 수업은) 복학하고 등록하고 난 뒤에 수업을 하는 걸 의미하는 거 아닙니까. 그러면 안 되죠. 학생들은 냉철하게 좀 생각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정부와 대학들은 3월 마지막 날까지 학생 복귀가 최우선이라며, 이후에는 학칙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정성훈, VJ : 신소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