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비서실장을 비롯해 대통령실 비서관급 이상 참모의 평균 재산이 약 48억 6,700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오늘(27일) 관보에 게재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2025년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 변동사항' 자료에 따르면 비서관급 이상 대통령실 참모 54명 가운데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공직자는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이었습니다.
신고 재산은 총 397억 8,900만 원으로, 직전 신고 당시보다 약 6억 5,900만 원 증가했습니다.
부인 소유 주식(278억 6,700만 원)이 재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대형 한방병원 관련 재단 이사장의 딸인 이 비서관 부인은 비상장주인 그린명품제약 주식 2만 주, 제이에스디원 주식 2만 주를 신고했습니다.
이 비서관은 본인 명의 용산구 아파트 분양권, 부인이 소유한 노원구 상계동 상가 건물, 부부가 보유한 58억 7,100만 원 상당의 예금도 적어냈습니다.
애널리스트 출신 김동조 국정기획비서관은 353억 7,9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해 대통령실 참모 가운데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본인 소유 비상장주식(344억 1,500만 원)이 재산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가족 회사로 알려진 한국제강 2만 2,200주, 한국홀딩스 3만 2,400주, 주식회사김동조 200주입니다.
'굽네치킨' 창업주로서 닭 가공 업체 크레치코 회장인 홍철호 정무수석비서관은 261억 3,800만 원을 신고했습니다.
본인 소유 비상장주식인 플러스원 39만 3,600주를 219억 7,200만 원으로 신고해 재산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장호진 외교안보특별보좌관(160억 4천만 원),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148억 원), 성태윤 정책실장(101억 4,200만 원)이 100억 원 넘는 재산을 신고했습니다.
그 뒤로 신용석 사이버안보비서관(93억 원), 정진석 비서실장(88억 8,800만 원),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87억 1,800만 원), 신수진 문화체육비서관(80억 7,400만 원) 순이었습니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 최고정보보호책임자 출신인 신용석 사이버안보비서관의 재산은 직전 신고 때보다 54억 8,700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 비서관은 "전 직장에서 스톡옵션으로 취득한 비상장주식의 매도 차익 및 전 직장 퇴직금"이라고 적었습니다.
박종찬 중소벤처비서관은 2억 300만 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적었고, 정현출 농해수비서관이 2억 1천만 원을 신고했습니다.
재산 신고액 10억 원 미만은 박 비서관과 정 비서관을 포함해 최영해 정책조정비서관(4억 7,100만 원), 최현석 고용노동비서관(7억 3,700만 원),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8억 100만 원), 하태원 해외홍보비서관(8억 3,300만 원), 이인배 통일비서관(9억 3,300만 원), 최한경 인구기획비서관(9억 6,700만 원) 등 8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