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렇게 2심 선고를 하루 앞둔 오늘(25일), 여야는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민주당은 검찰의 억지 기소인 만큼 무죄 판결이 명백하다고 했고, 국민의힘은 1심에서 나왔던 결과가 유지될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서 한소희 기자입니다.
<기자>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에 대한 검찰의 기소 자체가 잘못됐다는 입장입니다.
"유력 대선후보의 피선거권을 박탈시키려는 정치 보복"으로 규정하며, 2심 무죄를 기대합니다.
[김기표/민주당 의원 : 윤석열 검찰 독재 정권이 '정적 제거 사냥개' 검찰을 풀어서 증거를 조작하고 억지 기소한 이재명 죽이기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2심에서도 피선거권 박탈형, 즉, 100만 원 이상 벌금형이나 징역형이 나올 거라고 봅니다.
증거가 확실한 만큼 1심을 뒤집기 어렵다는 주장입니다.
[유상범/국민의힘 의원 : 1심에서 허위사실 공표가 명백히 확인됐고, 증거는 차고 넘치므로 피선거권 상실형 원심 판결이 유지될 것입니다.]
여야가 이렇게 날 선 신경전을 주고받는 이유는 내일 선고 결과가 정치권에 미칠 파장이 크기 때문입니다.
한 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중도층 불안이 심해진 만큼, 만약 이 대표의 피선거권이 박탈되는 판결이 나온다면, 이 대표의 정치적 위상이 크게 흔들릴 수도 있다"고 봤습니다.
그런 상황에선, 만약 윤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돼 조기 대선 레이스가 시작돼도 이 대표는 당내 경선 과정에서 거센 공세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관건은 '석 달 안 선고'가 원칙인 대법원 최종심이 언제 나오느냐인데, 윤 대통령 탄핵 선고가 늦어지면, 그만큼 이 대표의 리스크는 커집니다.
탄핵 각하 또는 기각으로 윤 대통령이 복귀하는 경우라면, 제1야당 대표로서의 정치력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단 분석입니다.
반대로 이 대표가 무죄나 100만 원 이하 벌금형을 받아 피선거권을 유지하게 된다면, 상황은 180도 달라집니다.
그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파면된다면, 이 대표는 본격적으로 대권 가도에 들어서는데, 반면, 윤 대통령이 복귀하는 경우라면,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대립이 극심해질 수 있단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김용우, 영상편집 : 오영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