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삼성SDI에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도 중점 심사 대상으로 심사하기로 했습니다.
금감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는 증자 규모가 크고, 1999년 이후 첫 유상증자인 점을 고려해 중점 심사 대상으로 심사할 계획"이라며 "회사와 적극 소통하며 신속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심사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날 3조 6천억 원 규모의 주주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복현 원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방산산업 신규 투자를 위한 3조 6천억 원 규모 유상증자는 한국 시장 역사상 제일 큰 규모"라면서 "경제 전체에 활력이 떨어져 있는 가운데,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이 투자 결정을 한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결국 공모 시장에서 조달을 할 수 있어야 기업들 자금 조달이 용이한 것"이라며 "엄청나게 긍정적으로 보고 있고, 최대한 빨리 심사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금감원은 '주식 가치 희석화 우려', '일반 주주 권익 훼손 우려', '재무 위험 과다', '주관사의 주의 의무 소홀' 등 대분류와 7가지 소분류에 따라 중점 심사 유상증자를 선정하기로 하는 유상증자 집중 심사 제도를 지난달 발표했습니다.
중점 심사 유상증자에 해당하는 경우 유상증자의 당위성, 의사결정 과정, 이사회 논의 내용, 주주 소통 계획 등 기재 사항을 집중적으로 심사합니다.
심사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제출 1주일 내 집중 심사를 하고, 최소 1회 이상 대면 협의를 하게 됩니다.
유상증자 중점 심사에 대해 일각에서 금감원이 상장 기업에 인허가권을 휘두른다는 지적이 나오자 금감원은 최근 기업의 유상증자에 잇달아 '긍정적'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원장은 전날 기자간담회에서도 "삼성SDI의 투자 건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며 "최대한 신속히 투자 자금 조달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증권신고서 심사를 처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