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토허제 시행 앞둔 강남 3구 아파트값 또 상승…7년여 만에 최고치

서울 송파구 아파트 매매 실거래 현황표(사진=연합뉴스)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을 확대 재지정한 가운데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전주보다 더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토허제 대상지에 포함된 강남 3구는 7년여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용산구의 상승률도 작년 8월 이래 가장 높았습니다.

3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사진=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갈무리, 연합뉴스)

한국부동산원이 오늘(20일) 발표한 '3월 셋째 주(지난 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 대비 0.25% 상승했습니다.

이로써 서울 아파트값은 토허제 해제 이후인 2월 셋째 주부터 이달 둘째 주까지 0.06%→0.11%→0.14%→0.20% 등으로 상승 폭을 매주 키워가고 있습니다.

이번에 토허제 대상에 포함된 강남구는 대치동과 압구정동 주요 단지의 가격 상승에 힘입어 전주보다 0.14% 포인트 오른 0.83%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8년 1월 넷째 주(0.93%)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송파구도 0.79% 오르며 2018년 1월 셋째 주(1.36%)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서초구 역시 2018년 1월 넷째 주(0.78%) 이후 가장 높은 0.69%의 상승률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용산구(0.34%)도 전주(0.23%) 보다 상승 폭을 키운 것은 물론 작년 8월 둘째 주(0.36%)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양천구(0.13%→0.32%), 마포구(0.21%→0.29%), 강동구(0.15%→0.28%), 성동구(0.29%→0.37%), 광진구(0.12%→0.25%) 등도 전주보다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

부동산원은 "역세권, 신축, 대단지 등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꾸준하고 가격 상승 기대감으로 매도 희망가도 오르는 가운데 신고가 갱신 등 서울 전체적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기도는 전주와 마찬가지로 보합(0.00%)을 나타내며 제자리걸음을 했습니다.

과천(0.71%→0.68%)은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전주보다는 상승 폭이 줄었습니다.

인천(-0.06%)은 연수구(-0.08%), 계양구(-0.05%) 등의 아파트값이 내리면서 전주보다 낙폭을 키웠습니다.

지방은 0.04% 내리며 하락세를 지속했습니다.

5대 광역시(-0.05%), 8개도(-0.02%), 세종(-0.09%) 등도 모두 내렸습니다.

3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 변동률(사진=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갈무리, 연합뉴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은 0.01% 오르며 전주의 상승 폭을 유지했습니다.

서울(0.05%→0.07%)과 수도권(0.03%→0.04%) 모두 전주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습니다.

서울의 경우 일부 외곽 지역과 구축 단지의 전셋값은 하락했으나 주거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는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며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있다고 부동산원은 전했습니다.

송파구가 0.26% 오르며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고, 강동구(0.14%), 동작구(0.12%), 광진·영등포구(0.11%)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방(-0.02%)은 전셋값 하락세가 계속됐습니다.

(사진=한국부동산원 보도자료 갈무리,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