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지만 '차분히 기다리겠다'는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윤 대통령이 풀려난 지난 8일 이후 오늘(20일) 현재까지 대통령실은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와 안보 관련 내부 회의를 열며 비상 상황에 대비하는 모습입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 통화에서 "차분하고 담담하게 헌재의 선고를 지켜본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헌재의 장고'를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이는 기류가 감지됩니다.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결과를 예단할 수는 없다"면서도 "논의가 길어지는 것을 보면, 적어도 헌재 내부에서 어느 한쪽으로 쏠린 일방적인 논의가 이뤄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다른 관계자도 "헌재가 숙고를 거듭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헌재가 탄핵소추안 인용 정족수인 6명을 확보하지 못해 선고일을 잡지 않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게 일부 참모들의 추측입니다.
또 헌재가 최재해 감사원장·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사 3명에 대한 탄핵소추를 재판관 전원일치로 기각한 점도 용산의 기대감을 키우는 요인입니다.
윤 대통령이 이들에 대한 야당의 탄핵소추에 따른 국정 마비를 계엄 선포의 주요 배경으로 제시한 사안이기 때문입니다.
더 나아가 일부 대통령실 구성원은 이번 주말 열릴 예정인 탄핵 반대 집회에도 개인 자격으로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헌재는 지난 달 25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변론을 종결한 후 거의 매일 평의를 열고 사건을 심리하고 있으나, 변론 종결 후 3주가 지나도록 선고일을 지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앞서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때는 변론 종결 후 약 2주 뒤 심판 결과를 선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