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의대가 있는 대학 총장 전원이 의대생의 휴학계를 모레(21일)까지 반려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지난해 같은 특례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건데요.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대규모 제적 사태가 현실화될 조짐입니다.
권지윤 기자입니다.
<기자>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이 회의를 열고 합의사항을 발표했습니다.
집단 휴학계에 대해, 21일까지 반려를 완료한다는 내용입니다.
교육부가 각 대학에 '집단 휴학 불가' 공문을 보낸 지 하루 만입니다.
특히 유급과 제적 사유가 발생하면 '원칙대로 처리'하는 데 의견 일치 이루며 공동 행동에 나섰습니다.
수도권 대학의 한 총장은 "총장들이 나서 어렵게 의대 정원도 원점으로 돌리며 할 수 있는 조치는 다 했다"며 "그런데도 복귀하지 않는다면 이제는 제적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일부 대학은 제적 이후 계획도 세웠습니다.
비수도권 대학의 한 총장은 "결원이 생기면 일반편입을 실시할 계획"이라며 "제적 등으로 결원 규모가 커지면 편입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홍순/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 (오늘, SBS 오뉴스) : 올해는 원칙대로 학칙에 따라 준수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 그러냐 하면 시간이 갈수록 의대 교육 여건은 점점 악화되고 학생들이 교육받기가 어려워지는 게 (기정사실이고요.)]
의대학생협회 비대위원장은 "돌아가도 교육을 제대로 받기 어렵다고 생각한다며 통상 휴학원을 제출하면 수리됐는데, 당황스럽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전공의와 의대생 등 의료계 일각의 백지화 주장에도, 정부는 2차 의료개혁 실행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노연홍/의료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 의료개혁의 목표는 우리 의료의 미래 주역인 의대생을 포함한 청년 의사들이 꿈꾸는 새로운 대한민국 의료를 만드는 것입니다. 의료개혁 중단·전면 백지화는 어렵습니다.]
지역 2차 병원 역량 강화를 위해 3년간 2조 3천억 원을 투입하고, 비급여 항목 관리 강화와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을 계획대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조수인, VJ : 신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