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자막뉴스] 비자도 못 받는 상황인데…"어떻게 감당하려고" 대학가 비상

부산에 사는 외국인은 8만 3천여 명입니다.

이 가운데 유학생은 1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3년 뒤인 2028년까지 외국인 유학생을 3만 명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지금의 두 배 수준으로, 인구 소멸과 학령인구 감소를 막을 현실적으로 꼽힙니다.

하반기부터는 유학생 취업과 연계한 부산만의 광역형 비자도 예고돼 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 : 유학생들을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외국의 우수한 인재들을 영입하고 그들을 잘 교육 시켜서 대한민국에서 필요한 인재로 쓸 수 있도록.]

문제는 이렇게 급증하는 비자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느냐는 겁니다.

지금도 부산 대학가에선 유학생의 30%가 비자를 못 받아서 개강 이후에도 입국을 못하고 있습니다.

수요는 많지만, 출입국 사무국의 유학생 비자 관련 직원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서지연/부산시의원 : 현재 유입되는 수인 5천787명에서도 인력 문제나 예산 문제로 법무부나 외교부에서 정체되고 있는데, 비자가 확대되면 더 정체가 심해지지 않겠습니까? ]

외국인 유학생들이 중도 이탈해 불법 체류자 신세가 되는 경우도 적지 않아 각 대학이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게다가 외국인 유학생의 실제 국내 취업 현황을 조사한 자료조차 없는 등 유학생 관리도 부실합니다.

[김귀옥/부산시 청년산업국장 : 실제로 유학생 비자를 받고 들어온 사람이 취업으로 이어지는 것에 대한 추적 조사가 불가능합니다. 부산의 문제라기보단 전국적 현황이고요.]

유학생 확대 정책에 앞서 검증된 유학생을 선별하는 한편, 수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문제가 더 시급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