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최소 10억 달러 투자시 많은 혜택"…제도 설명? 청구서?

<앵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앞장서 지휘하고 있는 미국 상무 장관이 우리 기업인들을 만난 자리에서 10억 달러, 우리 돈 1조 4천억 원 이상을 투자하면 지원 혜택이 있을 거라 말했습니다. 지원 제도를 설명하는 취지였다고는 하지만 적어도 이 정도는 투자해야 한다는 기준선을 제시한 거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용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 한국 기업인들과 러트닉 미 상무장관 면담은 지난주 금요일 40여 분간 이뤄졌습니다.

SK와 현대차, LG, 한화 등이 참석했는데, 약속이 늦게 잡히는 바람에 일부 참석자들은 귀국 일정도 바꾼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러트닉 장관은 대미 투자를 요구하면서 10억 달러, 우리 돈 1조 4천억 원이란 수치를 제시했습니다.

재계 관계자는 10억 달러 미만 투자도 지원하지만, 그 이상이면 허가 절차 등에 더 많은 지원이 가능하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그 정도는 투자하라는 일종의 기준선을 제시한 거란 해석도 나왔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환경평가 신속 처리 대상으로 같은 조건을 내건 바 있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또 투자를 약속하면 1년 안에 착공과 같은 구체적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러트닉이 관세 정책을 총괄한다는 점에서 대미 투자를 앞세워 미국과 관세 협상에 들어간 우리 정부로선 신경 쓸 대목이 더 늘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미 상무장관 (지난주) : 우리는 한 번도 보지 못한 방식으로 경제를 성장시킬 것입니다.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기꺼이 그 목표를 어깨에 짊어질 것입니다.]

정부는 관세 부과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로, 곧 산업부 장관이 미국을 찾을 예정입니다.

다만 미 재무장관은 상대 국가가 불공정 거래를 지속하면 상호관세를 올리고, 개선하면 내릴 것이라면서 관세 강경론을 이어갔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이승열, 디자인 : 최진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