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변론종결 D-1, 윤 대통령 측 막판 접견…국회도 최종 점검

변론종결 D-1, 윤 대통령 측 막판 접견…국회도 최종 점검
▲ 지난 10차 변론 출석한 윤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을 하루 앞둔 오늘(24일) 윤 대통령 측과 국회 측은 최종 변론 전략을 가다듬으며 막바지 준비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주말에 이어 오늘도 윤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대통령을 접견하고 변론 전략을 세웠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대통령의 최종 의견 진술과 대리인단 종합 변론을 통해 '12·3 비상계엄의 정당성과 불가피성'을 강조한다는 방침입니다.

윤 대통령도 구치소 내에서 직접 진술문을 작성하며 최후 진술을 준비 중입니다.

윤 대통령 측은 앞서 '임기단축 개헌 제안 검토' 등을 최후 진술에 담을 수 있다는 일각의 관측에는 대통령의 뜻과 다르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국회 대리인단은 오늘 저녁 변론 전략을 점검하기 위한 최종 회의를 엽니다.

국회 대리인단은 지난 22일 오전 열었던 회의를 바탕으로 종합 변론의 틀을 어느 정도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고 오늘 회의를 통해 어떤 쟁점을 강조할지 마지막 점검을 할 전망입니다.

국회 측 소추위원인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앞서 최후 변론 원고에 들어가면 좋겠다고 하는 내용을 국민들이 댓글로 써달라고 SNS에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 당시 대한민국이 야권의 반복된 탄핵과 예산 삭감으로 '국가 비상사태'에 준했다며 계엄의 정당성을 거듭 주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회 측은 윤 대통령 행위의 위헌성·위법성을 포괄적으로 짚고 이번 탄핵심판과 파면 선고가 대한민국에 갖게 될 의미를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헌재는 양쪽에 2시간씩 종합 변론 시간을 부여하고, 정청래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윤 대통령에게는 최종 의견 진술을 시간제한 없이 허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내일 변론이 오후 2시에 시작하는 만큼 실제 최종 진술이 무한정 길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헌재는 미처 조사하지 못한 서면증거를 살핀 뒤 변론 종결 절차에 돌입합니다.

변론 종결 이후에는 재판관 평의를 통해 탄핵 여부에 대한 의견을 모으고 평결을 통해 결론을 도출한 뒤 결정문 작성에 들어갑니다.

최종 선고 시점은 박근혜 전 대통령 사례와 유사하게 변론 종결 약 2주 뒤로 전망됩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