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산업연구원 "국내 기업 AI 활용 10% 안팎으로 저조…확산정책 필요"

국내 기업의 AI 활용 비중 (사진=산업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 국내 기업의 AI 활용 비중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 활용 수준이 10% 안팎에 그치고 특정 산업·지역에 편중돼 있어 AI 활용·확산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업의 인공지능 활용 확대와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 등 AI의 등장으로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으로 AI 기술이 급부상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AI 활용 비중은 2022년 4.5%에 불과한 것으로 통계청 '기업활동조사' 분석 결과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현재 통계청이 관련 세부 통계를 2022년 분까지만 제공하고 있다며, 2023년 잠정 통계 기준으로는 이 비중이 6.3%로 증가했다고 부연했습니다.

미국의 오픈AI가 챗GPT를 일반에 공개한 시점이 2022년 11월인 점을 고려하면 현재 국내 기업의 AI 활용 비중은 10% 안팎으로 올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고서는 특히 2022년 기준 정보통신업의 AI 활용률은 19%, 금융보험업 12.8%, 교육서비스업 10.6% 등으로 비교적 높았지만, 제조업 2.7%, 도소매업 2.6% 등으로 낮은 수준이었다며 제조업 등의 AI 활용률 제고가 필요하다고 짚었습니다.

AI 기술 도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관련 기술 부족, 자금 마련의 어려움, 전문인력 부족 등이 꼽혔습니다.

보고서는 한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AI 활용과 성과 창출 간의 선순환을 유도하는 산업 맞춤형·통합적 AI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AI 확산을 위한 표준모델, 데이터 기반 구축, 일반 교육 및 전문인력 양성과 함께 AI 활용과 성과를 위한 기술, 금융, 규제, 인력 등 세부 정책을 다듬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사진=산업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