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국에 기회 되나…미, 중 선사·제조선박에 수수료 부과 추진

한국에 기회 되나…미, 중 선사·제조선박에 수수료 부과 추진
▲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항구 부두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미국 정부가 세계 조선·해운시장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할 조치를 구체화했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현지시간 21일 공고문을 통해 중국의 해양·물류·조선 산업 장악력을 고려해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미 무역대표부의 추진안은 중국 선사의 어떤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마다 선박당 최대 100만 달러, 우리돈 약 14억 원, 또는 선박의 용적물에 1톤당 최대 1천 달러, 우리돈 약 144만 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습니다.

아울러 중국산 선박을 포함한 복수의 선박을 운영하는 선사의 경우, 미국 항구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 조건에 따라 최대 150만 달러, 우리돈 약 21억5천만 원의 수수료 등을 부과하는 내용도 포함합니다.

이와 함께 미 무역대표부는 미국산 제품의 미국 선박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안도 마련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해당 정책의 시행 직후부터 해상 운송되는 미국 제품의 최소 1%는 미국 선사의 미국 선적 선박을 통해 수출돼야 합니다.

조치 시행 2년 후에는 3%, 3년 후엔 5%, 7년 후엔 15%로 최소 기준 비율이 늘어나고 궁극적으로는 미국 제품들이 미국 선적의 미국산 선박을 통해 수출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미 무역대표부의 조치로 중국 선박의 운송 비용이 상승하면 "한국과 일본의 조선업계에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상승한 운송 비용은 소비자 가격에 반영돼 미국인들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