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조기 대선 가능성에…들썩이는 광역단체장들

<앵커>

탄핵이 인용되면 두 달 뒤에 바로 대선이죠. 대권을 꿈꾸는 이들의 움직임도 그만큼 빨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조기 대선의 특수성 때문에 이번에는 현직 광역단체장들도 들썩이고 있습니다.

정다은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요즘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방분권형 개헌을 외치고,

[오세훈/서울시장 (지난 12일) : 지방으로 모든 내치에 대한 권한을 위임하는 큰 틀에서의 국가 대개조를.]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선 준비 태세'를 자신합니다.

[홍준표/대구시장 (지난 19일) : 내일 당장 대선해도 우리는 다 준비돼 있어요.]

김동연 경기지사는 경기도만큼 전국도 화두로 삼고,

[김동연/경기지사 (지난 21일) : 대통령실, 국회, 대법원, 대검의 세종시 이전을 강력하게 주장합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대선에 나설 뜻을 굳혔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이철우 경북지사와 김관영 전북지사 등도 잠재적 대선 후보군으로 불립니다.

'궐위 선거'인 조기 대선이 현실이 된다면, 시도지사들에게는 특수한 조건이 형성됩니다.

공직선거법은 대선에 출마하려는 지자체장은 선거 90일 전에 사퇴해야 한다고 규정하는데, 대통령 궐위에 따른 대선이라면 30일 전에만 사퇴하면 됩니다.

정규 대선과 비교하면, 경선 기간이 3주 안팎으로 짧고, 현직 사퇴 없이도 당내 경선에 도전할 수 있는 데다, 경선 비용도 훨씬 덜 듭니다.

만약 대선 본선에 진출해 직을 사퇴하게 되더라도 올해 하반기 보궐선거로부터 잔여 임기가 1년이 채 안 남기 때문에 사퇴에 따른 보궐 선거도 없어서 정치적 부담도 그만큼 줄어듭니다.

일부 시도지사 측 인사들은 "대선 경선 참여만으로도 정치적 체급을 올릴 수 있다"며 기대를 내비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판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엄경영/시대정신연구소장 : 도민이나 시민들에 대한 예의도 아닐 수 있고 또 상대적으로 시정이나 도정을 좀 소홀히 할 수도 있는 거잖아요.]

만약 궐위 대선이 현실화한다면, 사퇴하지 않고 대선에 도전하는 시도지사들이 적잖을 수 있는데, 휴가를 내는 방식으로 당내 경선을 뛸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황지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