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여야 대표와 국회의장,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정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국회에 모였습니다. 추경 필요성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반도체 특별법과 연금 개혁을 놓고는 여전히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박서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민의힘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민주당 이재명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에서 모였습니다.
지난달 9일 여야정 국정협의회가 4자 회의를 열기로 한 뒤 진통을 거듭하다 처음 마주 앉은 겁니다.
2시간 동안 진행된 회의에서 추경의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참석자들은 밝혔습니다.
하지만 전 국민 25만 원 지급을 포함해 35조 원 규모는 필요하다는 야당과, 야당이 삭감했던 예산부터 복원해야 한다는 여당의 입장은 여전히 맞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예산 편성 권한은 헌법상 엄연히 정부에 있는데도, 국회가 일방적으로 감액만 해 처리한 것은 분명히 잘못됐습니다.]
반도체 특별법도 평행선을 달렸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반도체 특별법에 주 52시간 예외 조항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 이것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반도체 특별법이 아니라 반도체 '보통법'에 불과합니다.]
야당은 해당 조항을 제외하고 업계 지원 부분만 우선 처리하자고 요구했습니다.
연금 개혁에서도 '내는 돈' 즉 보험료율 조정엔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이 이뤄졌지만, '받는 돈' 즉 소득대체율과 논의 기구 등을 놓고 대치했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표 : 합의하기 어려운 조건을 붙여서 이거 안 되면 끝까지 안 하겠다, 이렇게 하는 것은 별로 국민들께서 흔쾌히 동의하실 상황은 아닌 것 같습니다.]
국회 윤리특위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즉 APEC 특위 구성에는 합의에 이르렀고, 국회 기후특위 구성도 추가 논의해 나가기로 하는 등 여야정은 대화 채널은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 영상편집 : 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