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지난해 총선 공천을 앞두고 김건희 여사와 김영선 전 의원이 통화한 내역을 확보했습니다. 서울중앙지검은 김 여사에 대한 직접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현교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지난해 2월 18일 명태균 씨가 김건희 여사에게 '김해 갑으로 지역구를 옮기는 김영선 전 의원의 단수 공천을 달라'고 부탁하는 내용의 텔레그램 메시지를 검찰이 확보했습니다.
명 씨는 "경남은 학연, 지연이 강하니 여사님이 이 부분을 해결해 달라"며, "김해 갑은 당협위원장이 공석이니 정리하는 게 쉽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자 김 여사는 "단수를 주면 나 역시 좋음"이라며 기본 전략은 경선이 되어야 하고, 지금은 김영선 의원이 약체 후보들부터 만나는 게 답"이라고 답합니다.
그런데 검찰이 확보한 통화 수발신 내역에 따르면, 명 씨와 김 여사 간 메시지가 오가고 1시간 반쯤 뒤인 오후 5시쯤, 김 여사가 김영선 전 의원에게 두 차례 전화를 걸었고, 밤 8시 반쯤 또다시 전화를 걸었습니다.
명 씨는 이날 밤 미래한국연구소 직원이었던 강혜경 씨에게, "김 여사가 전화로 김 전 의원 컷오프 소식을 알려왔다"며 "지역구 변경 소식을 기사에 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후 김 전 의원의 김해 갑 출마 사실이 언론을 통해 알려졌습니다.
검찰은 이러한 정황에 대해 "명 씨가 김 여사를 통해 창원시 의창구 공천개입을 시도했지만 컷오프가 예상되자, 김 여사 조언 등에 따라 김 전 의원의 지역구를 옮겨 급하게 언론에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고 적시했습니다.
이외에도 검찰은 지난해 2월 18일부터 3월 1일까지 김 전 의원과 김 여사가 전화 4번, 문자 7번 등 총 11차례 연락을 주고받은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명태균 관련 사건을 창원지검으로부터 이송받은 서울중앙지검은 김 여사에 대한 직접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영상편집 : 이상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