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켓식 수조로 전기차 화재 진압
앞으로 국내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기업은 시중 판매 이전에 정부의 배터리 안전성 인증 절차를 통과해야 합니다.
또한, 정부는 전기차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과 폐기 단계까지 전 주기에 걸쳐 이력을 관리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및 이력 관리제가 오는 17일부터 시행된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정부는 잇따른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국민적 불안이 커지자, 지난해 9월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하고 세부 시행 절차를 마련해 왔습니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사전에 시험·인증하는 제도입니다.

2003년부터 차량 제작사가 스스로 안전성을 인증하고 정부가 사후 검증하는 방식(자기 인증제)을 시행해 왔지만, 22년 만에 제도가 전면적으로 변경되는 것입니다.
함께 도입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개별 배터리를 제작할 때부터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식별번호는 생산 연월을 포함한 24자리 이하의 일련번호로 구성됩니다.
배터리가 두 개 이상이면 각 번호를 모두 기재해야 합니다.
정부는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배터리 제작과 전기차 운행 단계에서 배터리의 정비 및 검사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추후 배터리를 교환하면 식별번호를 새로 등록하도록 해 배터리 이력을 더욱 촘촘하게 추적·관리할 예정입니다.
리콜로 인해 배터리가 교환될 경우에는 변경된 식별번호가 연계 등록되도록 하여 차량 소유주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국토부는 오는 2027년까지 배터리 이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