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아파트 신축 현장 모습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 건설 공사비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주요 대형 건설사 매출 원가율이 평균 9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치솟는 공사비에 건설사와 발주처 간 공사비 증액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거나 소송전을 벌이는 현장도 다수 발생하고 있습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2024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 중 현대건설과 금호건설은 지난해 매출 원가율이 각각 100.6%와 104.9%(이하 잠정 실적 기준)로 집계됐습니다.
매출 원가율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매출 원가의 비율로, 이 비율이 100%를 넘었다는 것은 회사가 벌어들인 돈보다 지출한 돈이 더 많다는 의미입니다.
현대건설은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잠정 1조 2,209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3년 만의 '어닝쇼크'를 기록했습니다.
금호건설도 1,818억 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매출 원가율이 91.2%로 집계된 대우건설은 지난해 영업 이익(4,031억 원)이 전년 대비 39.2% 감소했습니다.
GS건설의 매출 원가율은 91.3%, HDC현대산업개발은 90.9%로 집계됐고, 삼성물산 건설부문(89.4%)과 DL이앤씨(89.8%)도 90%에 육박했습니다.
금호건설을 제외한 나머지 6개 기업은 모두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에 속하는 기업들로, 이 6개 기업의 매출 원가율은 평균 92.2%입니다.
이 밖에 동부건설 약 97%, 두산건설 91.2%, 삼성E&A 84.9%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설사들의 매출 원가율이 오른 것은 공사비 상승이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에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터지며 원자잿값과 인건비 등 주요 비용들이 모두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이에 따라 건설 공사비 지수는 2020년 12월 102.04에서 지난해 12월 130.18로 27.6% 상승했습니다.
건설 공사비 상승은 건설사들의 공사비 증액으로 이어지며 일부 현장에서는 분쟁과 소송전으로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두산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은 2019년 공동 수주한 김해 더스카이시티 아파트 공사비를 이달 초 845억 원 증액했습니다.
조합 측과는 증액안에 합의했지만 일부 조합원들이 조합의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증액 문제가 조기에 해결되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GS건설은 최근 서울 신반포4지구 재건축(메이플자이) 조합에 총 4,859억 원 규모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하고, 이 중 2,571억 원에 대해서는 조합을 상대로 지급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단지는 오는 6월이 입주 예정이어서 갈등이 지속될 경우 인근의 전월세 이동에도 영향을 미쳐 최대 1만 가구가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부동산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공사비 인상이 원만히 이뤄졌더라도 인상된 공사비는 분양가 상승과 전월세 인상 등으로 인근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공사비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건산연은 지난달 발표한 2025년도 전망 보고서에서 "지난 3년간 지속해 상승해 왔던 공사비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건설기업의 경영 여건이 급격히 좋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박 연구위원은 "2022∼2023년도에 시작된 공사들이 많이 줄었기 때문에 2023년도에 발생한 공사가 마무리될 때쯤인 올해나 내년 상반기까지는 건설사 매출액이 최저치를 찍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