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차가운 청년 고용시장…체감실업률·고용률 4년만에 최대 악화

고용보조지표 정의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
▲ 고용보조지표 정의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오른 16.4%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의 전년 대비 증가 폭은 2021년 2월(26.8%)의 3.7%p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

고용보조지표3은 노동시장에서 채워지지 못하는 실질적 일자리 수요를 포괄해 나타내는 지표로, 피부로 느끼는 고용 상황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체감실업률'이라고도 불립니다.

통계청 조사는 지난 1주일 동안 일을 하지 않았고, 일이 주어지면 일을 할 수 있으며 지난 4주간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한 사람만을 '실업자'로 간주합니다.

일반인이 인식하는 '실업자'와 차이가 있습니다.

고용보조지표3은 '경제활동인구'와 '잠재취업가능자'(구직활동을 했지만 사정이 생겨 일을 할 수 없는 이)· '잠재구직자'(일을 할 수 있으나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이)를 포함하는 '잠재경제활동인구' 대비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와 실업자, 잠재경제활동인구를 더한 수치의 비율로 산출됩니다.

고용보조지표3은 2021년 1월 27.2%를 정점으로 하락 추세를 보였습니다.

전년 대비로 보면 2021년 3월부터 45개월 동안 오른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전년 대비 0.5%p 상승한 16.0%를 기록했고, 지난달에는 상승 폭을 더 키웠습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6.0%로 1년 전과 같았고, 실업자 수는 23만 명으로 1만 6천 명 줄었지만, 체감 상 어려움이 갑작스레 커졌다는 뜻입니다.

청년 체감실업률이 크게 악화한 것은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들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지난달 경제 활동을 하고는 있지만 더 많이 일하길 원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의 수는 13만 1천 명으로 1년 전보다 4만 1천 명 늘었습니다.

역시 2021년 2월(4만 6천 명) 이후 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입니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이들입니다.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현재 하는 일의 시간을 늘리고 싶다거나 현재 하는 일 외 다른 일도 하고 싶다는 등의 답변을 한 이들입니다.

이들은 일단 취업자로 통계에 포함되지만, 정규직 등 안정된 일자리가 한정된 상황에서 취업에 실패하거나 구직 기간이 길어지는 청년들이 생계를 위해 임시·단기 일자리에 뛰어들고 있다는 뜻입니다.

반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률은 취업자가 큰 폭(-21만 8천 명)으로 줄면서 1.5%p 하락한 44.8%를 기록했습니다.

2021년 1월(-2.9%p) 이후 4년 만에 최대 낙폭이며,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력직 채용 비중이 커진 점이 주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일자리 시장이 이렇다 보니 지난달 뚜렷한 이유 없이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통계도 청년층에서 전년 동월 대비 9개월 연속 증가해 43만 4천 명을 기록했습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