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아파트 매수 1위 30대…'마·용·성'은 30대, 강남 4구는 40대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모습
▲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모습.

지난해 하반기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등 대출 규제 강화에도 전국적으로 30대가 아파트를 가장 많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거래된 49만 2,052가구의 아파트 중 30대의 매입 비중은 26.6%(13만 973명)로 전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40대 비중(26.2%, 12만 8,920가구) 보다 근소하게 높은 수준으로, 2023년에 처음으로 30대가 40대를 추월한 이후 지난해 8월까지도 30대의 약진이 두드러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지난해 9월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되고 시중은행의 유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강화된 이후 9∼11월까지는 40대의 매입 비중이 30대를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이어 작년 12월에 다시 30대(26.6%)가 40대(25.8%)를 앞지르면서 연간으로도 2년 연속으로 30대의 매입 비중이 40대를 넘어섰습니다.

서울 아파트 역시 지난해 30대 매입 비중이 31.9%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습니다.

서울 아파트는 2019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매년 30대의 아파트 매입이 가장 많았지만, 40대와의 격차는 좁혀졌습니다.

지난해 40대의 매입 비중은 31.7%로 30대와 불과 0.2%포인트도 채 나지 않았습니다.

가구 수로는 각각 1만 8,579가구와 1만 8,492가구로 87가구 차에 불과합니다.

서울 구별로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을 이끈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는 40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은 30대의 매입 비중이 높았던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올해 7월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되는 등 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될 예정이어서 4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입이 적은 30대의 매수세가 종전보다 주춤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