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인상 표적으로 삼은 캐나다·멕시코 등 관련 국가들과 함께 공동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허융첸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오늘(6일) 정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관세 인상 30일 유예 조치에 대해 "중국은 관련 국가들과 함께 선명한 기치로 자유무역·다자주의를 주장하고, 일방주의와 무역보호주의의 도전에 공동 대응함으로써 국제 무역의 질서 있고 안정적 발전을 수호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인상 시행을 하루 앞둔 지난 3일(현지시간) 적용을 한 달 늦춘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10% 보편 관세 인상 대상으로 지목된 중국에 대해서는 4일부터 유예 조치 없이 곧장 관세를 올렸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인상이 정식 발효되자 즉각 미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고,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추가로 물리기로 했습니다.
또 텅스텐 등 광물 수출 통제, 구글 겨냥 반독점법 위반 조사 착수 등 다각도 반격에 나섰습니다.
다만 중국이 관세 인상을 10일부터 시작하겠다며 며칠의 '말미'를 둔 데다 미국과 달리 관세 인상 범위를 일부 상품으로 한정하는 등 아직 대화의 여지를 열어뒀다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오늘 중국 상무부 입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이나 한국·일본 등으로 관세 인상 범위를 넓힐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미국을 향한 '공동 전선'을 펴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허 대변인은 이날 "지난 한 주 관세와 관련해 미중 소통이 있었는가"라는 질문에는 "중국은 주동적으로 무역 분쟁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고, 대화와 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할 의향이 있다"며 "다만 일방적 괴롭힘(覇凌·'집단 따돌림'의 의미도 있음) 조치에 대해서는 꼭 필요한 조치를 취해 자기 권익을 단호히 수호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오늘 브리핑에서는 어제 미국 연방우정청(USPS)이 중국과 홍콩에서 출발한 국제 소포를 차단했다가 해제한 일도 거론됐습니다.
그간 미국은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약 116만 원) 이하 물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면세 한도(deminimis exemption)를 적용해 왔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면세 구멍'이 특히 테무나 쉬인 같은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 물품이 쏟아져 들어오는 통로가 되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허 대변인은 "국경 간 전자상거래는 소비자의 개별적 수요와 빠른 배송, 비용 절감을 직접적으로 충족하는 것으로 특유의 우위를 갖고 있고 국제 무역 발전의 중요한 추세이기도 하다"면서 "미국이 최근 중국의 대미 수출 상품 관세를 10% 인상하고 소액 면세 정책을 조정한 것은 의심할 것 없이 미국 본토 소비자의 소비 비용을 높이고 구매 경험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