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국, 중국·홍콩발 국제소포 반입 차단했다가 하루 만에 재개

미국, 중국·홍콩발 국제소포 반입 차단했다가 하루 만에 재개
▲ 중국 의료 쇼핑몰 '쉬인'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시작한 '관세 전쟁'에 따라 중국발 국제 소포 반입을 차단했다가 하루 만에 재개했습니다.

로이터·AFP 등에 따르면 미 연방우정청(USPS)은 지난 4일(현지시간) 중국과 홍콩에서 들어오는 국제 소포반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같은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일부터 중국을 상대로 한 10% 추가 관세를 발효하고, 중국이 맞불 관세를 발표하면서 양국이 무역 전쟁을 개시한 직후 나온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USPS는 그로부터 채 24시간이 지나기 전인 5일 오전 중국·홍콩발 국제소포 반입을 재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USPS는 "USPS와 세관 및 국경 보호 당국은 소포 배송의 교란을 최소화해가며 새로운 대중국 관세를 징수하는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공동으로 실행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습니다.

USPS가 발표했다가 거둬들인 '중국발 소포 차단'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면세 구멍' 차단을 예고한 것과 맞물려 있습니다.

그간 미국은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 물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면세 한도(deminimis exemption)를 적용해왔습니다.

이러한 '면세 구멍'은 특히 테무(Temu), 쉬인(Shein) 같은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형부터 스마트폰까지 '메이드인 차이나' 물품이 쏟아져 들어오는 통로로 지목받았습니다.

2023년을 기준으로 중국에서 들어오는 수입품은 '800달러 면세' 물량의 거의 50%를 차지했으며, 특히 테무와 쉬인 두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달했습니다.

미국으로 면세 한도로 수입된 물품은 10년 전에 연간 1억 4천만 건 정도였지만 2023년에는 10억 건을 훌쩍 넘었습니다.

이같이 그동안 미국에서 초저가 물량 공세로 사업 기반을 넓혀온 쉬인·테무 등 중국 온라인 업체들은 USPS의 중국발 소포 차단으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