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중국발 소포 차단…중, 미 기업 조사 확대

<앵커>

중국에 관세를 매기겠다고 나선 미국이 당장 중국에서 들어오는 소포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전방위적 보복 조치를 발표했던 중국이 어떻게 대처할지, 베이징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권란 특파원,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소포가 꽤 많을 텐데 이걸 막으면 중국에서 어떤 피해가 예상됩니까.

<기자>

네, 일단 내려진 조치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들어가는 국제 소포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금지되는 물량이 말씀하신 대로 아주 많아서 하루 평균 약 300만 개가 될 전망입니다.

미국은 그동안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의 물품에 소액 면세 제도라는 걸 적용해 왔는데요.

대중국 관세 행정명령이 발효되면서 더 이상 소액 면세가 되지 않게 됐습니다.

소포로 물건을 발송하면서 면세 제도를 적극 활용해서 세를 넓혀왔던 알리, 테무, 쉬안 같은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들이 바로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앵커>

중국 외교부가 오늘(5일) 정례 브리핑을 했잖아요. 새로운 조치를 발표한 게 있습니까.

<기자>

미중 무역 전쟁의 포문이 열린 이후에 중국 정부가 첫 외신 기자를 상대로 브리핑을 연 거여서 더 관심이 쏠렸는데요.

일단 중국발 소포 반입 차단 조치에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미국이 경제·무역 문제의 정치화·도구화, 중국 기업에 대한 무리한 탄압 등을 중단할 것을 촉구합니다.]

어제 전방위 반격을 쏟아냈던 만큼 추가 조치는 내놓지 않았습니다.

다만 "필요한 조치는 계속 취할 것"이라며 미국의 대응을 지켜보겠다는 뜻을 내비쳤는데요.

중국은 미국 기업 제재의 일환으로 구글의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를 시작한 데 이어서 빅테크 기업, 인텔 조사도 검토 중인 걸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트럼프가 시진핑 주석과 24시간 안에 통화하겠다고 했었는데 이건 어떻게 됐고, 또 두 나라가 대화할 여지가 남아 있는지 얘기해 주시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24시간 내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양측은 사실상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적절한 시점에 시진핑 국가주석과 통화할 것입니다. 서두르지 않습니다.]

[린젠/중국 외교부 대변인 : 현재 필요한 건 일방적 관세 인상이 아니라 평등과 상호 존중의 대화와 협상입니다.]

중국이 대미 관세 부과 시점을 오는 10일로 잡았기 때문에 그사이 물밑 접촉을 통해서 대화의 진전을 이룰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영상취재 : 최덕현, 영상편집 : 김종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