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정애 "군함도 강제성 뺀 보고서…유네스코 등재 전면 거부 의사 표해야"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사진=한정애 의원실 제공,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

민주당 한정애 국회의원이 일본 정부가 낸 근대산업시설 등재 후속조치 보고서에 강제성 명시 등 한국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전면 거부 의사를 표해야 한다고 정부 측에 촉구했습니다.

이번 후속조치 보고서는 지난달 31일 세계유산위원회가 공개했는데, '군함도' 탄광 등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이 지난 2015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어떤 후속 조치를 했는지에 대한 내용이 담겼습니다.

재작년 세계유산위원회가 일본에 '당사국들과의 지속적 대화 및 유산 해석전략 강화를 위한 추가 조치들에 대한 진전사항을 세계유산센터 및 자문기구들이 점검할 수 있도록 2024년 12월1일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하는 결정문을 채택하면서 제출한 겁니다.

한국은 2015년부터 ▲한국인 강제동원 피해자 증언 전시 ▲다수의 한국인 등이 강제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노역했다는 전체 역사 설명 ▲일본이 일방적으로 도쿄유산정보센터에 설치한 한일 강제병합 합법성 전시물 철거 요청 등을 요구해왔습니다.

한정애 의원도 작년 11월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일본이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 유네스코 자문위원회가 권고한 후속조치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향후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에는 우리 정부가 반대할 것이라는 점을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고, 조태열 외교부 장관도 이에 동의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후속조치 보고서에서도 일본은 이런 요구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한정애 의원실은 설명했습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증언을 전시해달라는 요구에는 전시물이 아닌 한국어판 증언 자료집을 서가에 비치하는 수준에 그쳤고, 강제노역의 전체 역사에 대한 설명을 포함해달라는 요청에는 해설사 역량 강화 훈련, 도쿄 센터 개관일 확대, 광산노동자 봉급·복지 비교연구 지원 등 조치로 대신했다는 겁니다.

한정애 의원은 "일본은 작년 8월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협상 과정에서 '강제성'을 명시해달라는 한국의 요청을 거절했고, 군함도 후속조치에서도 역사 왜곡을 바로잡으라는 정당한 요구를 반영하지 않았다"며, "일본이 지금까지 국제사회에 한 약속이 이행되지 않는 한 추가적인 세계유산 등재에 반대하겠다는 정부 차원의 공식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사진=한정애 의원실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