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몇몇 나라를 먼저 콕 집어서 관세를 매기겠다고 한 트럼프 대통령은 특정 품목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입니다.
우리로서는 당연히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데, 실제로 이게 가능할지 혹시 트럼프의 다른 노림수가 있는 건 아닌지 이 내용은 박현석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 3개국에 대한 추가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하루 전, 트럼프 대통령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대중국 반도체 대책을 논의한 사실을 공개하면서, 반도체 관세를 언급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현지시간 지난달 31일) : 좋은 만남이었습니다. 우리는 결국 반도체에도 관세를 부과하게 될 겁니다. 석유와 가스도 마찬가지입니다. 꽤 빠른 시일이 될 수 있는데, 2월 18일 무렵일 걸로 생각합니다.]
석유, 가스와 함께 이달 18일부터 부과하겠단 건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반도체도 예외가 아니라는 걸 분명히 한 겁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미국이 무역 적자를 많이 본 국가 8위에 올라 있습니다.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은 1년 전보다 116%나 급증했는데,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AI 투자 확대에 따른 영향이 큽니다.
반도체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우리 기업들이 입을 타격이 만만치 않은 이유인데, 일각에선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장상식/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시설이 아직 많지 않고, TSMC나 삼성은 지금 이제 건립 초기 단계여서요. 그런 상황에서 반도체 관세를 매기는 거는 과장해서 이야기하면 자살골 같은 (행위라고 여겨집니다.)]
미국 자체 생산 설비가 부족하고, 반도체 특성상 공급망도 단시간 내 바꾸기 어려운데, 중국과 경쟁이 시급한 자국 빅테크 기업들에게 관세 부담까지 지울 수 있겠느냐는 겁니다.
[김동원/KB증권 리서치본부장 : (반도체 관세 카드는) 메모리 반도체 70% 점유율을 확보한 한국 반도체 업체들의 미국 생산기지 현지화를 유도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입니다.]
반도체 전문가들은 오히려 불확실해진 반도체 보조금, 이른바 칩스법 이행 여부와 우리 반도체 최대 수출국인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또 중국에 부과한 추가 관세를 더 급한 불로 보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정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