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용수단 총동원"…'관세 폭탄' 대응 카드는?

<앵커>

정부는 트럼프가 어떤 말을 꺼낼지 예의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일단은 미국이 우리 수출 품목에 직접적인 관세를 매기는 걸 피하는 게 지금으로서는 가장 중요합니다.

어떤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지 이태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고,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관세 조치 영향과 우리의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점검했습니다.

[정인교/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에 (우리 기업의) 현지 생산 제품의 대미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됩니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수출기업들을 만난 자리에서, 가용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일단 수출기업 유동성 확보를 위해 360조 원 규모의 수출 금융을 공급하고, 수출 다변화를 위한 신흥시장 개척에도 힘쓰겠다는 겁니다.

문제는, 미국의 관세 폭탄 영향을 어떻게 최소화할 지입니다.

일각에서는 미국에서 에너지나 농산물 수입을 늘려 대미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습니다.

[장상식/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무기와 같은 방산 제품, 그다음에 한미 FTA로 최근에 쇠고기와 같은 농축산물도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에 대한 수입을 좀 더 늘리면서 충분히 협상이 가능하다고 보고요.]

우리나라에 기술적 이점이 있고, 미국이 필요로 하는 조선업 등에서 산업 협력을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강구상/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미유럽팀장 : 조선업이라든지 SMR(소형모듈원자로) 분야라든지 이런 분야에서 우리가 협력을 좀 강화할 수 있다.]

오는 7일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앞둔 일본의 경우, 대미 투자액이 가장 많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미국산 LNG 수입 확대 등의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들은 보도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