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해상기반 3축 체계 핵심 전력

'해군의 주먹' 정조대왕함 (사진=방위사업청 제공, 연합뉴스)
▲ '해군의 주먹' 정조대왕함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해상기반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 부대인 해군 기동함대사령부가 창설됐습니다.

해군에 따르면 7기동전단을 모체로 어제 창설된 기동함대에는 정조대왕함을 포함한 이지스구축함 4척 등 구축함 10척과 군수지원함 4척이 배치됐습니다.

제주해군기지가 모항이며, 사령관은 해군 소장입니다.

2030년대 중반에 정조대왕함급 이지스구축함 2척과 한국형차기구축함(KDDX) 6척이 추가로 기동함대에 배치될 예정인데, 그렇게 되면 구축함은 18척으로 늘어납니다.

기동함대에는 정조대왕함급(8천200t) 이지스구축함 3척과 세종대왕급(7천600t) 이지스구축함 3척 등으로 구성되는 71·72·73기동전대와 군수지원함으로 구성된 77기동군수전대와 제주기지전대 등 5대 예하 부대가 있습니다.

최신예 함정이 집중 배치된 기동함대는 동·서·남해를 관할하는 기존 1·2·3함대와 달리 임무에 따라 동·서·남해 어디에든 투입됩니다.

원양 작전도 항속거리가 긴 대형 함정이 배치된 기동함대의 몫이 됩니다.

특히, 이지스구축함 6척이 배치돼 한국형미사일방어(KAMD), 킬체인, 대량응징보복으로 구성된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 전력으로 꼽힙니다.

이지스구축함에는 탐지거리 1천㎞ 이상인 '스파이 레이더'를 갖추고 있어 적 미사일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정조대왕함급 이지스구축함에는 탄도탄 요격 미사일과 장거리 함대지 탄도미사일도 장착돼 해상기반 한국형 3축 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됐습니다.

기동함대는 평시엔 한반도 주변 해역 감시,해상교통로 보호, 해외파병 등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유사시엔 북방한계선(NLL) 등 임무해역에 투입돼 해양우세권을 확보하고 장거리 타격 능력을 기반으로 핵심표적에 대한 정밀타격 임무를 수행합니다.

기동함대는 1989년 '해군 전략·군사력 소요'를 통해 필요성이 명시된 이후 36년 만에 창설됐습니다.

초대 사령관으로 취임한 김인호 해군 소장은 "기동함대는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대한민국의 주권과 해양 권익을 보호하는 핵심 기동부대 역할을 한다"며 "유사시 압도적 전력으로서 전승을 보장하고 정부 정책을 힘으로 뒷받침하는 부대로 발전하겠다"고 각오를 밝혔습니다.

(사진=방위사업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