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실거래된 강남 아파트값 평균 25억 원…도봉 5억 '양극화'

작년 실거래된 강남 아파트값 평균 25억 원…도봉 5억 '양극화'
지난해를 관통한 부동산시장 트렌드 중 가장 강력한 것은 '양극화'입니다.

서울 서초·강남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가격 평균은 25억 원, 도봉구는 5억 원으로 격차가 5배 벌어졌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로 지난해 9월 이후 주택거래가 뜸해진 가운데서도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초고가 아파트 거래 건수는 최대치를 기록했고, 실거래가도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에서 제출받은 '2024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매매된 서울 서초구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는 25억 1천800만 원으로 서울 25개구 중 가장 높았습니다.

서초구 다음으로는 강남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가 24억 8천300만 원으로 높았습니다.

용산이 22억 5천700만 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은 계약일 기준으로 집계했습니다.

평균 실거래가가 20억 원을 넘는 서초·강남의 특징은 지난해 아파트값이 8월 정점을 찍고 주춤했는데도 흔들리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서초구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은 지난해 1월 21억 3천600만 원에서 8월 27억 2천500만 원까지 올랐습니다.

9∼11월 25억 원대가 됐으나 12월 평균 실거래가는 다시 27억 5천900만 원으로 상승했습니다.

강남구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 역시 지난해 8월 26억 9천300만 원에서 9월 25억 2천200만 원으로 하락했다가 10월에 26억 원대로 돌아왔습니다.

용산의 경우 지난해 9월 29억1천만 원으로 높아졌다가 10월 26억 6천만 원, 11월 20억 3천9000만 원, 12월 20억 7천300만 원으로 하락했으나 여전히 20억 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초·강남·용산 다음으로 지난해 평균 실거래가가 높은 곳은 송파(16억 7천500만 원), 성동(14억 1천700만 원), 마포(12억 9천100만 원)이었습니다.

서울에서 평균 실거래가가 가장 낮은 곳은 도봉구로 5억 5천400만 원이었습니다.

가장 높은 서초구와 4.6배 차이가 납니다.

강북구(6억 700만 원), 노원구(6억 1천만 원), 금천구(6억 2천100만 원), 중랑구(6억 2천800만 원), 구로구(6억 7천300만 원) 등 서울 25개구 중 12개구의 평균 실거래가가 10억 원 이하였습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난해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고, 강남 불패 심리가 작동하면서 강남권과 용산 아파트 가격은 상대적으로 덜 빠졌다"며 "자산과 소득 양극화와 지역 양극화를 유발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박 위원은 "강남권 고가 아파트 가격이 뛴 것은 코인, 해외주식 등 글로벌 금융자산이 유입된 측면도 있을 것"이라며 "부동산을 투자 자산이 아니라 재산을 저장하는 '저장 자산'으로 여기는 수요가 늘어나는 등 주택시장 흐름이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