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전·한수원 경영진, '바라카 원전 공사비 내분' 담판 나선다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왼쪽)과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2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장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왼쪽)과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2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장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의 최고 경영진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공사비 정산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담판에 나섭니다.

26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김동철 한전 사장과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설 연휴가 지난 후 직접 만나 바라카 원전 공사비 정산과 관련한 협상 타결을 시도합니다.

한전은 다음 달 초께는 한수원과의 갈등을 마무리 짓고 국제 분쟁 절차까지 확전하는 상황을 피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한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한수원과의 논의가 다음 달 초까지는 진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국익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전은 2009년 팀코리아 대표로 나서서 약 20조 원에 바라카 원전을 수주했습니다.

바라카원전은 1천400㎿(메가와트)급 신형경수로 APR1400 노형입니다.

한국의 첫 해외 수주 원전으로, 총 4기로 구성됐습니다.

지난해 마지막 4호기까지 상업 운전을 시작해 현재 1∼4호기 모두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 중입니다.

주계약자인 한전과 한수원을 비롯한 국내 기업들이 협력해 안정적인 전력 생산까지 마무리함으로써 K-원전의 우수성을 과시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원전 건설 이후 최종 정산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총공사비가 2009년 계약 당시 예상보다 증가한 것이 문제가 됐습니다.

한수원은 지난해 말 한전에 정식으로 추가 비용 정산을 요구하는 클레임을 제기했습니다.

한전은 분쟁이 런던국제중재소로 갈 경우에 대비해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로펌을 선임하고, 예상 자문료로 약 1천400만 달러를 제시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법무 비용을 근거로 한전과 한수원 간 정산금 분쟁 규모가 1조 원을 넘길 것이란 추산도 나옵니다.

다만 한전 측은 한수원과의 계약상에 클레임을 해결하는 절차가 있고, 이에 따라 원만한 합의를 도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또 다른 한전 관계자는 "지금은 협상 단계이지만 계약상 중재 절차 또한 있기 때문에 모든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로펌을 고용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로선 협상 타결이 우선 원칙이며, 로펌에 자문한 것이 곧 중재 절차로 간다는 뜻이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원전 업계 안팎에서는 한수원과 미국 웨스팅하우스 간 지식재산권 분쟁 협상이 마무리되고, 체코 신규 원전 수출을 눈앞에 둔 상황에서 팀 코리아의 이 같은 내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한전 관계자는 "한전이 (한수원의) 100% 지분을 가진 관계를 감안해 이 문제를 국제 중재로 가져가게 되면 국익 측면이나 후속 원전 수출 측면에서 글로벌 고객사에 안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다"며 "협상 내용을 자세히 공개할 수 없지만, 한전은 가급적 협상으로 해결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