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오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 차기 회장인 양오봉 전북대 총장(가운데)등이 참석해 있다
전국 57개 대학이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2025학년도 학부 등록금 인상을 제안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육부 출입기자단이 최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 참석한 전국 4년제 대학 총장 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7.9%인 57명이 등심위에 등록금 인상을 제안하거나 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동결은 26명(31.0%), 무응답은 1명(1.2%)이었습니다.
대학 소재지별로는 수도권은 32명 중 27명(84.4%)이 인상을 제안하거나 할 예정이라고 답했습니다.
비수도권은 인상 30명(57.7%), 동결 21명(40.4%), 무응답 1명(1.2%)이었습니다.
대학 유형별로는 사립대는 61명 중 52명(85.2%)이 인상을 제안하거나 할 예정이라고 응답했고 동결은 8명(13.1%)에 그쳤습니다.
국공립은 동결이 18명(78.3%)으로 인상 5명(21.7%)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수도권 사립대에서 등록금 인상 움직임이 훨씬 큰 것으로 해석됩니다.
실제로 연세대, 서강대, 국민대, 이화여대, 동덕여대, 한국외대, 동국대 등 서울 주요 사립대가 최근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앞서 교육부는 올해 등록금 인상 상한선을 5.49%로 정했는데 등심위에 제안한 등록금 인상률은 5.0∼5.49%가 50.9%로 절반이 넘었습니다.
4.0∼4.9%는 36.8%, 2.0∼3.9%는 12.3%였습니다.
2026학년도 등록금 인상도 검토 중인지에 관한 문항에는 19.0%가 '인상할 것', 50.0%가 '인상에 무게를 두고 검토 중'이라고 했습니다.
매년 반복되는 등록금 논란을 풀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고등교육 재정지원 대폭 확충'(46.4%)과 '인상률 법정 한도 해제를 포함한 등록금 자율화'(41.7%)를 주로 꼽았습니다.
현재 4년제 대학 197개 중 10년 내 몇 개가 문 닫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31.0%가 '20개 이하', 28.6%가 '21∼30개'라고 답했고 51개 이상이라는 답변율도 16.7%가 있었습니다.
올해 시작되는 라이즈(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가 지역 대학 발전에 기여할지에는 '그렇다'가 39.3%로, '아니다' 23.8%를 웃돌았습니다.
다만 36.9%는 '모르겠다'고 답해 60% 이상이 여전히 라이즈 체계에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현 정권에서 고등교육 경쟁력이 강화됐다고 본 총장은 13명(15.5%), 약화됐다고 생각한 총장은 28명(33.3%)이었고 39명(46.4%)은 전 정권과 비슷하다고 답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