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주택 매매가 늘면서 거주지를 옮긴 국내 인구가 4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서울은 35년째 전입보다 전출이 더 많은 '순유출'을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의 '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는 628만 3천 명으로 전년보다 15만 5천 명(2.5%) 증가했습니다.
인구 이동자 수는 2020년 63만 1천 명(8.9%) 늘어난 뒤로 3년 연속 감소하다 작년 주택 매매가 늘면서 반등했습니다.
이동자 수는 장기적으로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으로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주택 거래량과 입주 예정 아파트 물량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인구 100명 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2.3%로 전년보다 0.3%포인트(p) 상승했습니다.
전체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은 65.4%를 차지했고 나머지(34.6%)는 시도 간 이동이었습니다.
연령별로 이동률을 보면 20대(23.9%)와 30대(21.0%)에서 높았고 60대 이상에서는 낮은 경향(7%대 이하)을 보였습니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이 15.7%로 가장 높았고 대전(13.7%), 인천(13.3%) 등 순이었습니다.
전출률은 세종(15.0%), 대전(13.8%), 서울(13.6%) 등 순으로 높았습니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은 '순유입' 시도는 경기(6만 4천 명), 인천(2만 6천 명), 충남(1만 5천 명) 등 5개 시도였습니다.
반면 전출이 전입보다 더 많은 '순유출' 시도는 서울(-4만 5천 명), 부산(-1만 4천 명), 경남(-9천 명) 등 12개 시도였습니다.
서울은 1990년부터 작년까지 35년째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습니다.
30대(-1.8%), 40∼50대(-1.0%), 60세 이상(-1.1%) 등 연령대에서 서울 순유출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20대의 서울 순유입률(2.8%)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서울 용산구의 순이동률은 -4.3%를 기록해 228개 시군구 중 순유출 1위였습니다.
재건축·재개발 영향으로 전출 인구가 많았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입니다.
서울 전입자의 53.0%는 경기에서 이동했고 서울 전출자의 61.3%는 경기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내 인구 이동 사유로는 주택(34.5%), 가족(24.7%), 직업(21.7%) 등 순이었습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주택·가족을 이유로 한 주거지 이동이 늘었고 직업 사유 이동은 줄었습니다.
수도권 내 이동자 수는 292만 7천 명으로 전년보다 3만 명(1.0%) 늘었습니다.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52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2.4% 늘었습니다.
인구 이동률은 12.1%로 같은 기간 0.3%p 상승했습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