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비 귀에 빡종원 썸네일](https://img.sbs.co.kr/newimg/news/20250122/202032589_1280.jpg)
팔다리도 살이 있지만, 유독 뱃살만 두둑하다면, 절대 하면 안 되는 다이어트 방법이 있어요. 차이는 체지방률인데요. 오늘 글은 진짜 중요합니다. 체지방률 낮추는 진짜 방법을 오늘 글에 다 정리해 두었으니, 잘 읽어보세요. 먼저, 이런 방법은 절대 쓰지 마세요. 뱃살이 많은 사람이 절대 하면 안 되는 다이어트 방법이 있어요.
첫째, 걷지 마세요. 물론 걷기를 해도 어느 정도의 체중 감량은 가능해요. 체중이 표준 체중 이상인 경우에 걷기는 더 빠른 감량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만약 내가 보통 체중인데 뱃살만 많아서 고민이라면 시간 낭비입니다. 다른 곳이 아니라 뱃살을 빼려면 결국 체지방률을 낮추는 다이어트를 해야 하는데요. 체지방률을 낮추려면 체지방도 빼야 하지만 근육량을 늘리는 게 더 빠르거든요. 사실 체지방은 음식만 줄여서 먹어도 뺄 수 있어요. 하지만 음식을 많이 먹거나 적게 먹는다고 근육량이 느는 거 보셨나요? 근육량은 근력 운동으로만 늘릴 수 있어요. 뱃살 많은 체형은 걷기가 아니라 근육량을 늘릴 수 있는 근력 운동에 시간 투자를 해야 해요.
둘째, 적게 먹지 마세요. 마른 분들이 제일 많이 하는 실수예요. 여태 계속 적게 먹어서 체중계의 숫자가 빠르게 줄어드는 경험을 한 거죠. 그래서 또 이번에도 적게 먹으면 뱃살이 빠질 거라 생각하겠지만 아닐 겁니다. 체중계의 숫자는 줄어들지만 뱃살은 그대로 아니었나요? 적게 먹으면 오히려 근육량이 빠지고 근 손실이 일어나게 되는데요. 적게 먹을수록 체형을 바꾸기는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 이걸 아무리 말씀드려도 사실 먹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많으신데요. 적게 먹을수록 체형을 바꾸기는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
셋째, 간헐적 단식 하지 마세요. 사실 간헐적 단식은 빨리 체중을 감량하기에 정말 좋은 방식인데요. 여기서 포인트는 '체중'입니다. 체중이 높고 체지방률도 높다면 간헐적 단식 완전 추천합니다. 하지만 체중이 보통이라면 간헐적 단식을 해도 체지방률은 그대로일 확률이 커요. 특히 근육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에너지 섭취를 주기적으로 해주어야 합니다.
걷지도 말라고 하고 그럼 도대체 어떻게 하라는 거냐, 이런 생각 하셨나요? 그런 분들은 무조건 이 방법을 쓰세요.
팔다리에 비해서 뱃살이 많은 분들은 체지방률을 낮출 수 있게 운동과 식사를 하셔야 합니다. 체지방률을 낮추는 방법은 <근력 운동 + 전략적인 영양 섭취> 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려도 또 걷고, 적게 먹고, 간헐적 단식으로 체중을 감량하려 하신다면 여기까지만 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릴게요. 여태까지 그 방법으로 몸이 바뀌지 않았다면 방법을 바꾸셔야 하거든요.
![조은비 귀에 빡종원](https://img.sbs.co.kr/newimg/news/20250122/202032590_1280.jpg)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근력 운동 루틴 짜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특히 초보자분들은 아무 영상이나, 좋아하는 영상을 반복해서 시청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전문가가 구성한 운동 루틴이라도, 한 영상만 반복해서 보고 운동을 하다 보면 근육이 불균형하게 자리 잡혀요. 우리 몸에는 640개의 골격근이 있고, 이 근육들은 서로 조화를 이루며 움직여요. 한 근육만 커지게 되면 몸의 모양이 무너집니다.
예를 들어 팔을 구부릴 때 팔 앞쪽 근육인 이두가 수축하고, 팔 뒤쪽 근육인 삼두가 이완합니다. 팔을 펼 때는 삼두가 수축하고 이두가 이완합니다. 여기서 제가 팔 앞을 수축하는 운동만 맨날 100개씩 하면 어떻게 될까요? 점점 팔 앞 근육은 짧아지고 팔 뒤는 늘어나면서 팔 앞 근육이 어깨를 잡아당길 거예요. 따라서 꼭 제 운동이 아니더라도 여러분이 운동을 할 때는 주동근과 길항근의 균형이 맞도록 골고루 짜야 해요.
첫째, 내 체력에 맞게 운동을 짜야 합니다. 어떤 것보다도 중요한 것이 '체력에 맞게'예요. 너무 쉬우면 근육량이 늘지 않고, 너무 어려우면 부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인데요. 사람마다 무게, 세트 수, 횟수가 다 달라져야 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에요. 실제로 같은 홈트레이닝 영상도 어떤 분께는 쉬울 수도, 어떤 분께는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체력에 맞게 운동을 골라야 해요.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https://img.sbs.co.kr/newimg/news/20230829/201826819_128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