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의 한 대형병원 응급의료센터
정부가 설 연휴 전후 2주(1.22~2.5)를 '설명절 비상응급 대응 주간'으로 지정하고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응급의료에 차질이 없도록 중증·응급수술과 지역 응급실 진찰료 등에 수가를 추가로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또, 응급실 뺑뺑이와 과밀화를 막기 위해 전담팀을 구성하고, 인센티브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전공의 공백 장기화로 인한 의료진 피로 누적과 더불어 겨울철 독감 등 호흡기질환이 유행하면서, 의료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세부 대책으론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 181곳의 야간과 휴일 중증·응급수술 수가 가산율을 200%에서 300%로 올립니다.
평일 기준 150% 인데, 지난해 추석부터 200%로 상향됐는데 이어 설 연휴에만 100%p 추가로 늘린 겁니다.
독감 유행에 따라 호흡기질환은 115곳 이상의 발열 클리닉, 197곳 협력병원에서 집중적으로 진료하게 할 방침입니다.
연휴기간 출산 위기에 대비해 중앙응급상황실 내에 산과·신생아 전담팀을 구성하고 별도로 병상 종합상황판도 구축할 계획입니다.
또 산과응급질환 대상 순환당직제를 확대 운영하고, 시도별 핫라인을 구축합니다.
다태아 수용을 위한 신생아 중환자실 예비병상을 확보하고 의료진 당직을 늘리도록 인센티브도 지급합니다.
지난 추석 연휴 때와 마찬가지로 문 여는 병·의원에는 진찰료 3천 원, 약국엔 조제료 1천 원을 정액으로 추가 가산하기로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