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를 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15일) "전 부처가 일자리 전담 부처라는 각오로 국민 한분 한분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취약부문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방안을 신속히 마련해 추진해달라"고 관계부처에 주문했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국정현안조정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지난해 12월 '마이너스'를 기록한 고용동향을 거론하면서 "연말 직접일자리 사업 종료 등 일시적 요인과 함께 경제주체들의 심리 악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최 권한대행은 "건설업 등 내수 회복 지연, 주력업종 경쟁심화, 생산연령인구 감소폭 확대 등으로 향후 고용 여건 또한 녹록지 않다"며 "고용 상황의 조속한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회의에서는 친환경차·이차전지 경쟁력 강화방안,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 설 연휴 안전관리 대책 등이 논의됐습니다.
최 대행은 특히 "전기차 수요 둔화로 업계 위기감이 커지는 가운데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영향도 적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비상한 상황을 정면 돌파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책당국 차원에서도 배터리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금융(대출·보증·투자)을 지난해 6조 원에서 올해 7조 9천억 원으로 확대하고, 연구개발(R&D)·투자세액공제에 우대 공제율을 적용하는 국가전략기술 범위에 이차전지 핵심광물 관련 기술을 추가한다는 방침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5조 원 규모로 조성했던 '공급망안정화기금'도 올해 연간으로 10조 원 규모로 확대하고, 국내생산·수입다변화·비축을 지원하는 '공급망안정화 지원 프로그램'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