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LA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보험업계 손실만 300억 달러, 우리 돈 43조 9천억 원 이상이라는 추산이 나왔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대형 금융사 웰스파고는 산불 발생 일주일째 보험업계의 관련 손해 추산액이 3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 역시 보험업계 손실이 100억~300억 달러로 예상되며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주택 손실 등을 고려하면 400억 달러가 될 것이라고 추산했습니다.
보험업계에서는 주택보험 업체들이 가장 큰 비용을 부담할 거란 전망입니다.
웰스파고는 올스테이트(Allstate Corp.)와 처브(Chubb), AIG, 트래블러스(Travelers Cos.) 등이 이 지역 보험을 많이 받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은행이 보장하지 않는 보험을 많이 든 보험사는 머큐리 제너럴과 신시내티 파이낸셜입니다.
이번 산불로 지금까지 최소 24명이 사망하고 서울 여의도의 34배 넘는 지역에서 1만 2천 채 이상의 집과 건물이 소실됐습니다.
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피해와 임금 손실 및 공급망 중단과 같은 간접 경제적 영향까지 고려한 총 피해 및 경제적 손실 추정치도 주말을 지나면서 크게 늘었습니다.
날씨 정보 업체 아큐웨더는 산불로 인한 직간접적 손실을 2천500억~2천750억 달러 (약 366조~402조 원)로 추산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이번 산불이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자연재해가 되겠지만 일자리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얀 하치우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산불로 캘리포니아 인구의 약 0.5%만이 대피 명령이나 경고를 받았다면서 따라서 1월 고용보고서의 비농업 부문 일자리 수치에 미치는 영향은 1만 5천~2만 5천 개 정도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또 산불이 시작된 이후 실업 수당에 대한 온라인 검색도 크게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LA 카운티 서부 해변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발생한 '팰리세이즈 산불'은 14%, 동부 내륙의 '이튼 산불'은 33%의 진압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전히 9만 2천여 명이 대피명령을 받고 집을 떠났으며, 다시 강풍 경보가 발령돼 진화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