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새롭게 가입한 스웨덴, 핀란드가 잇달아 방위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는 12일(현지시간) 스웨덴 셀렌서 열린 연례 안보정책포럼 개회사에서 "방위력을 증강, 확장하기 위한 추가 조처가 요구될 것이라는 점을 전혀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와 AFP 통신이 전했습니다.
크리스테르손 총리는 "우리나라와 이웃 국가들인 미사일이나 병사가 아닌 컴퓨터, 돈, 허위정보, 사보타주(파괴공작) 위협에 의해 수행되는 하이브리드 공격을 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안보 상황과 그리고 발트해에서 수상쩍은 일들이 계속해서 일어나는 현실 때문에 (우리에 대한) 적대적 의도가 있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며, "스웨덴은 전쟁 중이 아니지만 그렇다고 평화로운 상태도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나토의 발트해 정찰 임무 확대와 관련해 군함 3척과 공중조기경보통제기 1대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해 11월 발트해에서는 스웨덴 수역에 있는 해저 통신케이블 2개가 절단된 데 이어 지난달 25일엔 핀란드 수역의 해저 전력케이블과 통신케이블이 연이어 훼손됐습니다.
핀란드 해저 케이블 절단은 제재를 우회해 러시아산 원유를 수출하는 이른바 '그림자 함대' 소속 선박이 훼손 원인으로 지목됐으며 고의적으로 훼손했는지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핀란드에선 국방 강화 예산을 조달하고자 EU 공동채권 발행도 고려해야 한단 주장이 나왔습니다.
페테리 오르포 핀란드 총리는 전날 현지 공영 YLE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정부 공식 입장이 없기에 개인적인 견해로는 유럽을 방어하는 데 사용된다면 차입을 포함한 공통된 EU 기금을 활용하는 안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또 "유럽의 방어는 남서부가 아닌 발트해의 핀란드, 동부의 폴란드에서 이뤄진다"며, "방위 필요성이 너무 커졌기에 더는 우리 혼자서 감당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핀란드가 전통적으로 회원국들의 도덕적 해이를 우려해 공동채권인 유로본드 발행에 반대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큰 입장 변화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습니다.
스웨덴과 핀란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중립 노선을 폐기하고 2022년 5월 일제히 나토 가입 신청서를 냈습니다.
이후 핀란드는 2023년 4월, 스웨덴은 지난해 3월 각각 정식 회원국이 됐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