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EU 수장, 트럼프 취임식 초대 받지 못해…'불화' 예고

EU 수장, 트럼프 취임식 초대 받지 못해…'불화' 예고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현지시간 20일 열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식에 불참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EU와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현재 취임식 초청장을 받지 못했습니다.

파올라 핀호 EU 집행위 수석 대변인은 지난 10일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대해 "초청장을 받으면 검토하겠지만 현재로서는 참석 계획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차기 미 행정부와 조기 접촉을 모색할 것"이라면서도 "20일 전후 언제일지는 당장은 알 수 없다"고 전했습니다.

정권 인수 기간은 외교안보 및 통상 정책의 얼개를 짜는 시기인 만큼 고위급 접촉이 활발히 이뤄지지만,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미국 대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7일 처음 통화한 이후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대화하진 않았다고 집행위는 전했습니다.

소통 부재의 우선적인 원인으론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의 건강 문제가 거론됩니다.

심각한 폐렴 탓에 그는 새해 첫 2주간 외부 일정은 전면 취소했습니다.

그러나 아예 초청장을 보내지 않은 건 조 바이든 대통령 재임 동안 우크라이나 전쟁을 매개로 밀착했던 EU와 미국 간 대서양 동맹의 '불화' 조짐이 있단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재임 시절 유럽의 낮은 방위비 지출과 철강 고율 관세 부과 등으로 EU와 갈등을 빚었고, 재선에 성공하자 대(對)EU 무역적자를 언급하며 미국산 석유와 가스를 추가 구매하지 않으면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했습니다.

또, 트럼프 당선인이 그린란드를 통제하고자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는 데도 주저하지 않겠다며 편입 의사를 노골화한 것도 EU의 큰 고민거립니다.

EU의 빅테크 규제 정책을 두고 충돌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EU는 지난해 3월 '빅테크 갑질 방지법'으로 불리는 디지털시장법(DMA)을 시행한 직후 미국 기업인 구글과 애플, 메타를 상대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또, 비슷한 시기 애플이 음악 스트리밍 앱 시장에서 반독점법을 위반했단 이유로 18억 4천만 유로, 약 2조 7천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고 지난해 11월엔 메타의 '페이스북 마켓플레이스'에 7억 9천772만 유로, 약 1조 1천812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10일 유명 팟캐스트 진행자인 조 로건과의 인터뷰에서 빅테크에 대한 EU의 과징금 부과가 관세와 거의 유사하다며 트럼프 당선인이 이를 막고자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