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 폭의 동양화 같은 고장…중국 문학의 거장을 낳다 [스프]

[술로 만나는 중국·중국인] 마오둔을 낳은 강남수향 우전의 '싼바이주' - 저장 우전 (글 : 모종혁 중국문화평론가·재중 중국 전문 기고가)

모종혁 중국본색 썸네일
 

지피지기 백전불태! 친중(親中), 반중(反中)을 넘어 극중(克中)을 위한 지식충전소! 진짜 중국을 만나러 갑니다!
 

가오궁성조방의 한편에 있는 싼바이주 저장고
필자가 중국에 관심을 가졌던 계기는 중학생 때 읽은 3권의 책 때문이다. 첫째는 한국인의 애독서 중 하나인 《삼국지(三國演義)》다. 둘째는 《중국의 붉은 별》로, 초판본을 우연히 구해서 읽었다. 셋째가 《중국의 붉은 별》로 인해 중국 현대사에 관심이 생겨 읽은 마오둔(茅盾)의 소설인 《식(蝕) 3부작(1930)》이다.

《식 3부작》은 마오둔이 경험했던 정치 활동을 바탕으로 중국 혁명운동의 그늘을 실감 나게 그렸다. '환멸', '동요', '추구' 등 3편의 중편 소설로 구성됐는데, 소설마다 다른 주인공이 등장한다.

우전의 민가는 전형적인 강남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그에 따라 부딪히는 상황이 각기 달라 연작이면서 각 편이 독립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청년 지식인이 혁명에 참여해 내부 모순에 환멸을 느끼고 동요하며, 새로운 인생을 추구하다가 좌절하게 된다.

사실 마오둔의 본명은 선더훙(沈德鴻)으로, 자는 옌빙(雁氷)이다. 이 소설을 발표하면서 국민당 정권이 내린 수배령을 피하고자 필명으로 마오둔을 썼다.

마오둔은 1896년에 저장(浙江)성 퉁샹(桐鄕)시 우전(烏鎭)에서 태어났다. 마오둔의 집은 전형적인 강남 사합원이다. 대지 650㎡에 건평이 450㎡나 된다.

마오둔의 생가로 향하는 우전의 골목길과 민가
마오둔은 10살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하지만 방이 10개 넘는 부유한 집안 환경과 지혜로운 어머니의 가르침 덕분에 좋은 교육을 받았다. 어머니는 마오둔이 지적 상상력을 키우도록 독려했다.

이런 보살핌 아래 마오둔은 어릴 때부터 고전 소설에 탐닉했다. 그 때문에 마오둔은 장성한 뒤 자주 "내 삶에서 가장 큰 스승은 어머니다"라고 말하곤 했다.

1913년 베이징 대학에 입학하면서 마오둔은 고향을 떠났다.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상하이로 가서 상무인서관에 입사했고 1920년에는 《소설월보》의 편집자로 일했다.

마오둔의 생가는 대표적인 강남 사합원 방식이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1921년에 '인생을 위한 문학'을 주창하는 문학연구회를 조직했다. 또한 같은 해 7월에는 공산당 창당에도 간여했다.

1924년 제1차 국공합작이 성사되자, 출판사를 그만두고 1926년 국민당 선전부에서 일했다. 하지만 이듬해 장제스(蔣介石)가 쿠데타를 일으켜 좌익 소탕에 나서자, 지하로 숨어들어 갔다. 이 시기에 쓴 소설이 《식 3부작》이다.

원래 창작 활동에 들어설 때 마오둔은 깊은 허무주의에 사로잡혀 있었다. 한바탕 혁명의 소용돌이 속에 투신했다가 참담한 실패를 겪었기 때문이다.

마오둔 가족도 후원의 침실에서 이런 고풍스러운 침상을 사용했다.
그러나 혁명 현장을 떠날 수 없는 자신의 처지를 거대한 모순의 운명처럼 여겼다. 이에 모(矛) 위에 풀 초(草)를 올려 발음이 똑같은 띠 모(茅)처럼 만들어 필명을 완성했다.

《식 3부작》 이후 마오둔은 왕성한 글쓰기에 몰입했다. 1928년 《무지개(虹)》를 썼고 1930년에 중국좌익작가연맹을 창립했다.

1931년부터 《깊은 밤(子夜)》을 연재했고 1932년 《임씨네 가게(林家鋪子)》, 1933년 《추수(秋收)》 등을 잇달아 발표했다. 마오둔 문학의 특징은 어려운 현실에서 생활하는 인간 군상을 묘사한 사실주의다.

우전 마을 사진을 배경으로 세워진 청소년기의 마오둔 석상
청년 지식인부터 농민까지 다양한 주인공이 등장해 당대의 고민과 삶을 그대로 드러냈다. '농촌 3부작'으로 불리는 《봄에 치는 누에(春蠶)》, 《추수》, 《늦겨울(殘冬)》은 중국 농촌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이는 마오둔이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강남의 농촌마을인 우전에서 성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41년에 마오둔은 돌연 소설 창작을 중단했다. 그 뒤에는 극작가와 편집자로 활동했다.

우전 곳곳에는 마오둔의 향취가 남아있다. 본래 우전은 강남 6대 수향(水鄉) 중 하나이자 비단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우전의 수많은 민가는 대부분 수로를 끼고 지어졌다.
강남 6대 수향은 《미션 임파서블 3》에서 마지막 배경 무대로 등장한 시탕(西塘)을 비롯해 퉁리(同里), 저우좡(周莊) 등을 가리킨다.

수향은 대운하 때문에 생겨났다. 운하는 진대부터 조금씩 짓기 시작해서, 남북조시대에는 건설이 상당 부분 진척됐다. 이 시기 남부로 대거 이주한 한족이 강남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면서 곳곳에 운하를 건설했다.

그러다가 수나라 때 양제가 기존 운하를 보수하고 연결해 강남에서 장안에 이르는 대운하를 완성했다. 우전은 대운하의 길목에 있기에, 당대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우전의 수각은 수면 위에 항상 떠 있도록 수로의 물 관리를 한다.
당대 말기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우전은 관군의 보호를 받지 못했다. 이때 우(烏) 씨 장군이 나타나 마을을 보호했다. 수년 뒤 도적이 쳐들어왔으나 우 장군이 앞장서 물리치고 전사했다.

주민은 그를 기리어 '우 씨의 마을'이라며 이름 지었다. 현재 우전은 크게 동책(東柵)과 서책(西柵)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책은 '울타리 마을'이라는 뜻이다.

두 마을은 십자 형태를 띤다. 수로가 가운데 흐르고 양옆에 민가가 줄지어 지어져 있다. 수로는 과거 그대로로, 여전히 우전과 다른 마을을 연결하는 교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우전 서책에 있는 남인화포 염색장
수로 위에는 수백 년의 역사를 지닌 돌다리가 놓여 있다. 민가는 명·청대에 지어진 고풍 어린 전통가옥이다.

특히 집 한쪽을 강 위에 나무나 돌로 받침을 박아 놓고 지은 구조로 지었다. 수면에서 30~50cm 높게 떠 있도록 해서, 물 위까지 주거 공간을 넓힌 것이다. 수로의 물 관리가 철저한 덕분이다. 그래서 물 위의 누각(水閣)이라 부른다.

어느 마을이든 수각 옆에는 골목이 있고 다시 민가가 있다. 민가군은 수각과 달리 사합원 구조를 갖추었다. 강남의 사합원은 대문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원과 후원으로 나뉜다.

갓 염색한 천이 걸려 있는 남인화포공방은 기념사진을 찍는 성지다.
전원 중앙에는 조당(祖堂)과 대청이 있고, 좌우로 서재와 부엌이 있다. 후원에 침실이 있다. 비단의 고장답게 우전은 잠사와 염색 기술이 발달했다.

누에는 우전 외곽에서 친다. 누에가 번데기가 되어 실을 토해 몸을 감싸 누에고치를 만들면 우전으로 가져온다. 우전 골목길을 누비다 보면 누에고치에서 번데기를 꺼내고 손가락으로 명주실을 뽑는 주민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과거에는 명주실을 나무로 된 직물기로 해서 비단을 짰지만, 지금은 기계가 대신하고 있다. 이와 달리 천을 염색하는 방식은 옛날 그대로다.

어둠이 깔리는 우전은 수로와 민가의 조화가 한 폭의 동양화 같다.
우전은 대표적인 남인화포(藍印花布)의 생산지이기도 하다. 남인화포는 흰 천에 다양한 꽃무늬 그림을 수놓은 뒤 남초에서 추출한 색소로 만든 염료를 물들인 무명천이다.

수백 년 전부터 우전에서는 이 남인화포를 이용해 옷, 신발, 가방 등 각종 수공예품을 생산했다. 염료 공방의 넓은 마당은 갓 염색한 천을 건조하기 위해 긴 장대 위에 걸어놓아 장관을 이룬다.

우전의 또 다른 명소는 1872년 청대 동치제 때에 문을 연 가오궁성조방(高公生糟坊)이다. 앞은 술을 파는 주점이고, 뒤는 싼바이주(三白酒)의 양조장이다.

가오궁성조방은 옛 방식 그대로 싼바이주를 양조하고 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