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럼프 복귀 앞 역대 최대 대미흑자…무역수지 관리 필요성 커져

트럼프 복귀 앞 역대 최대 대미흑자…무역수지 관리 필요성 커져
▲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과 무역수지 흑자가 각각 1천278억 달러, 557억 달러로 모두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기업의 각축장인 거대 시장 미국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고 이뤄낸 수출로 거둔 흑자 성과입니다.

다만 이달 출범할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수지 균형을 강조하며 보편관세 부과 등 강력한 보호주의 정책을 예고한 상황입니다.

이에 역대급 대미 무역흑자 성과가 자칫 미국의 통상 압력을 유발할 수 있어 민관 차원의 적극적 대응이 중요해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어제(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은 1천27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5%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은 1984년 처음 100억 달러를 넘겼습니다.

이어 1988년 200억 달러, 2000년 300억 달러, 2011년 500억 달러를 차례로 돌파한 데 이어 2022년에는 1천억 달러 시대를 열었습니다.

대미 수출은 2018년(727억 달러)부터 지난해까지 7년 연속으로 매년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하는 기록을 이어가며 순항하고 있습니다.

2024년 대미 수출을 이끈 일등 공신은 자동차입니다.

전년 대비 8% 증가한 342억 달러를 기록해 전체 대미 수출의 26.8%를 담당했습니다.

자동차는 한국의 전체 대미 흑자의 약 60%를 차지합니다.

이어 일반기계가 전년보다 4% 증가한 149억 달러(전체 대미 수출의 11.7%), 반도체가 123% 증가한 103억 달러(8.1%) 등으로 기여했습니다.

자동차 수출 증가는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자동차가 호평받고 있기 때문이며 일반기계 수출 증가는 한국 기업들이 미국 현지 투자를 확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산업부는 분석했습니다.

반도체 수출 급증은 미국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열풍에 서버 투자를 확대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이 같은 수출 실적에 힘입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도 전년(444억 달러)보다 25% 불어난 557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를 경신했습니다.

한국은 대미 무역에서 1998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흑자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흑자 규모는 2020년 166억 달러, 2021년 227억 달러, 2022년 280억 달러, 2023년 444억 달러, 2024년 557억 달러로 매년 불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10대 교역국·지역 가운데 가장 큰 흑자를 안긴 곳은 미국이었습니다.

이어 아세안(352억 달러), 베트남(299억 달러), 인도(123억 달러), 유럽연합(EU·33억 달러), 독립국가연합(CIS·28억 달러), 중남미(13억 달러) 등 순으로 흑자 규모가 컸습니다.

반면, 에너지 수입이 많았던 중동(-735억 달러)을 비롯해 일본(-183억 달러), 중국(-68억 달러) 등에서는 적자를 봤습니다.

이달 20일 취임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무역 적자 해소를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저가 제품 공세로 시장을 교란한다는 명문으로 중국산 수입품에는 60%까지 고율 관세를 매기고, 여타국 상품에도 10∼20%의 보편관세를 매기겠다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미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2021년까지 미국의 14위 적자국이었지만, 이후 꾸준히 순위가 올라 작년 1∼8월 기준으로는 중국, 멕시코, 베트남, 독일, 아일랜드, 타이완, 일본에 이어 8위까지 올라왔습니다.

이에 한국도 미국의 통상 압력에 대비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는 이미 미국 대선 전부터 나왔습니다.

한국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지만, 이 역시 트럼프 신정부가 추진하는 보편관세를 막을 방패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큰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미 무역수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정부도 무역수지 관리를 위해 미국 에너지 수입 확대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은 지난해 액화천연가스(LNG)를 360억 달러(약 50조 원) 수입한 세계 3대 LNG 수입국입니다.

이 같은 구매력을 활용해 LNG와 원유 등 에너지 도입선을 미국으로 일부 돌리면 추가적인 경제 부담 없이도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미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2016년 한국의 미국산 원유·가스 수입 비중은 각각 0.2%, 0.1%에 불과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기(2017∼2021년) 미국산 원유·가스 도입 비중을 높여 2023년 이 비중은 각각 13.5%, 11.6%까지 높아졌습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도 지난달 인터뷰에서 "가격 측면에서 중동 에너지 자원보다 (미국산이) 훨씬 더 유리해 공사나 민간에서 충분히 (수입을) 확대할 여지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며 "미국 수입 확대 필요성이 있어 우리 기업들은 사업 전략의 측면에서, 산업부의 입장에선 정책 측면에서 건설적으로 활용할 여지를 키우려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 증가가 '투자 유발형'이라는 점을 적극 설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혜택을 받기 위해 한국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짓는 등 대규모 투자에 나섰는데, 이에 따른 기계·설비 반입 등도 수출로 잡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작년 상반기 신규 공장 건설과 관련된 기타 기계류 대미 수출이 15억 달러로 작년보다 239.4%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는 투자 유발형 대미 수출이 늘어난 지표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트럼프 2기 정부는 취임 초반부터 주요 무역 흑자국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밀어붙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서 "한국의 경우 자동차 등 품목에 대한 압박과 함께 그동안 혜택을 누리던 배터리 등에 대한 보조금 삭감 내지 축소로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

장 원장은 "통상 측면에서 미국이 원하는 무역적자 축소를 위해 천연가스, 원유 등 에너지 분야와 항공기, 농축산물 등 미국의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협상 노력은 필요해 보인다"면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공급망 배제도 강력히 원하는 만큼 수혜를 볼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검토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