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안국제공항 로컬라이저 둔덕
국토교통부는 제주항공 참사 피해 규모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과 관련하여 해당 시설은 처음부터 콘크리트 둔덕 형태로 설계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엔진 고장이 랜딩기어 문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과 달리 엔진이 모두 고장 날 경우 유압 계통을 통해 랜딩기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처음으로 인정했습니다.
국토부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로컬라이저는) 최초 설계 때도 둔덕 형태 콘크리트 지지대가 들어간 형태"라며 "그 뒤 개량사업 진행하며 분리된 말뚝 형태에 두께 30㎝ 콘크리트 상반을 (추가로) 설치해 보강했다"고 말했습니다.
콘크리트 재료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선 "방위각 시설 자체는 원래는 안테나로만 봐야 하고, 지지대는 전통적 의미에서 로컬라이저가 아니다"라며 "지지대를 설치할 때 비바람에 흔들리면 안 되니 고정하기 위해서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종단) 안전 구역 밖에 있으니 재료에 제한받지 않는다고 판단해 콘크리트 지지대를 받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둔덕 형태로 지지대를 만든 이유와 관련해서는 "과거 여러 공항을 보면 형태와 안의 재질이 다소 상이한데 최초 설계 당시 최적의 방법을 찾았던 시공 방식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했습니다.
둔덕이 2m가량 돌출된 것에 대해서는 "활주로 높이 이상으로 시설이 올라와 있지 않으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며 "전파 각도가 충분히 나오지 않아서 항상 안테나가 높게 세워져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울어진 지면과 수평을 맞추기 위해 돌출된 형태로 만들어졌다는 기존 해석과 일맥상통합니다.
아울러 둔덕 뒤 외벽이 충돌 규모를 키웠냐는 지적에는 사고 원인에 대해 명확하게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국토부는 이번 브리핑에서 엔진 이상이 랜딩기어 미작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인정했습니다.
국토부는 "2개 엔진이 모두 고장 나면 유압 계통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랜딩기어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다만) 모든 게 다 고장 났을 때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레버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는) 엔진이 고장 나고, 랜딩기어가 안 나왔다는 전제로 말하는 것"이라고 선을 긋고서 "조종석에서 어떻게 레버 작동이 안 됐는지 등에 대한 상황은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히는 블랙박스 분석을 통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