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배터리 소재 수입시장서 한국 1위…"대미 협상력 중요해져"

▲ 미국 시장 소재 수입시장 국가별 비중 추이

한국이 미국의 배터리 소재 수입 시장에서 1위 자리를 굳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행정부가 이차전지 소재에 관세를 매기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보도가 전해져 한국이 우선 압박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 중심의 대미 협상력 제고가 중요해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무역협회가 분석한 유엔 무역통계(UN Comtrade)에 따르면 미국의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수입액은 2020년 50억 2천100만 달러에서 2023년 96억 9천800만 달러로 93.1% 증가했습니다.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은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미국의 배터리 소재 수입이 배 가까이 느는 동안 중국 비중은 크게 줄고, 한국 비중이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2020년에는 중국이 28.9%로 1위였고 일본(17.2%), 독일(10.1%), 캐나다(9.1%)가 뒤를 이었다.

당시 한국의 비중은 8.5%로 선두권에 끼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2023년에는 한국과 일본이 각각 33.7%, 26.4%로 양강 구도를 형성했습니다.

3위인 중국의 비중은 8.4%로 뚝 떨어졌습니다.

2023년 한국의 대미 3대 배터리 소재 수출액은 총 32억 6천800만 달러였습니다.

양극재가 29억 3천만 달러로 90% 가까이 차지했습니다.

통상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는 전체 배터리 가격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이런 변화는 미중 신냉전을 배경으로 한 세계 공급망 개편 흐름 속에서 나타났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 3사가 미국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지으면서 한국에서 원료로 가져다 쓰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 소재의 양이 늘어난 상황이 무역 통계에 반영된 겁니다.

대표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사 얼티엄셀즈를 통해 미국 오하이오주에 1공장, 테네시주에 2공장을 가동 중입니다.

미국 테네시주 스프링힐에서 가동중인 LG에너지솔루션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배터리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의 제2공장.

문제는 협상의 여지가 있겠지만, 무차별 배터리 소재 관세가 현실화하면 한국 배터리 업계가 'IRA 질서'에 적극 대응해 구축한 '한국 재료, 미국 생산' 질서에 큰 영향이 생기게 된다는 점입니다.

IRA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가공된 배터리 소재도 자국산과 동등하게 인정해 전기차 소비 보조금을 줍니다.

한국 배터리 기업은 대부분 미국에 대규모 배터리 셀 공장을 짓고 양극재 등 소재를 한국, 캐나다 등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생산한 제품을 가져다 쓰는 사업 모델을 구축 중이었습니다.

따라서 향후 미국의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이는 전기차 수요를 억제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 빠진 업계의 어려움을 가중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아가 트럼프 신정부가 협상 과정에서 한국 등 우방국 기업들에 자국 내 배터리 소재 생산 시설 건설 요구를 강화한다면 기업들은 전에 없던 추가 투자 부담을 질 수 있습니다.

다만 트럼프 신정부의 대중 견제 의지가 바이든 행정부 이상으로 강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이 선도 기술을 장악한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시장에서 후발 주자인 한국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어 기회 측면도 공존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또 중국산 음극재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관세가 크게 오르면 중국산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유일의 음극재 양산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이 대미 수출에서 활로를 찾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사진=한국무역협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