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 총회에서 북한 인권 침해를 규탄하는 결의안이 20년 연속 채택됐습니다. 미국은 북한의 불법 해양활동을 지적하고 북한 자금 세탁을 도운 개인과 기업을 제재했습니다.
워싱턴 김용태 특파원입니다.
<기자>
유엔총회가 북한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전원 동의 형식으로 채택했습니다.
심각한 북한 인권상황을 조명하고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유엔총회는 2005년부터 20년 연속 북한 인권결의를 채택했습니다.
또 미국 국무부는 북한이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를 위반해 가며, 한도 이상 석유를 수입하고 석탄과 철광석을 불법 수출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미일 3국은 이 같은 북한의 불법 해양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미 재무부는 북한의 자금세탁과 암호화폐 환전을 도운 중국 국적자 2명을 제재대상에 추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재무부는 또 자금세탁에 동원된 유령회사도 제재하기로 했습니다.
북한에 대한 압박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의 친분을 연일 과시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북한 담당 특임대사에 측근 그레넬을 임명한 것이 북미대화 의지를 내비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트럼프는 지난달 대선 승리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한 이후 한국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에서는 양자 정상회담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클링너/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 (CSIS 대담) : 트럼프가 대통령 권한대행인 총리를 만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주 중국 대사와 주 일본 대사는 각각 지명했지만 주한 미 대사는 아직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박정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