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시 동맹국인 한국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 감축이 미국의 대(對)한국 무역 적자 증가의 직접적인 이유가 아니라는 것이 대다수 경제학자의 의견이라고 미국 의회조사국(CRS)이 밝혔습니다.
CRS는 28일(현지시간) '한미 FTA와 양자 무역 관계' 보고서에서 자동차 산업을 예로 들며 "많은 경제학자는 FTA에 따른 관세 감축이 양자 무역에서의 적자 증가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지난 2012년 발효된 한미 FTA 이후 미국의 대 한국 무역 적자는 왔다 갔다 했으며 자동차 수입의 경우 한미 FTA에 따라 2.5%의 자동차 관세가 인하되기 전인 2011~2015년에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면서 이렇게 밝혔습니다.
미국은 FTA에 따라 2016년 승용차에 대한 관세 2.5%를 철폐했으며 경트럭(light truck)에 대한 관세는 애초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었지만 트럼프 1기 정부 때의 재협상으로 2041년까지 연장됐습니다.
보고서는 "자동차 무역은 애초 FTA 협상 시 가장 논쟁적인 이슈 가운데 하나였지만 미국에 본사를 둔 주요 자동차업체들은 궁극적으로는 협정을 지지했다"고 평가한 뒤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54억 달러 규모의 조지아주 전기차 및 배터리 공장을 비롯해 대미 투자를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나아가 미국의 대 한국 무역 적자에 대해 "일부 경제학자들은 국가저축률, 투자율과 같은 거시경제적 요인이 양국 무역 수주의 주요 (결정) 요인이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FTA가 미국의 무역 적자에 기여한다는 주장도 일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때 10~20%의 예외 없는 보편 관세와 대 중국 60% 관세 부과 등을 공약했습니다.
최근에는 내년 1월 취임 시 불법 이민 및 마약 유입 등의 이유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수출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대 수준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이 이를 이유로 한국에 대한 경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