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내년 1월 출범을 앞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 100일 내 관세 등으로 무장한 통상 정책을 강력하고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는 역대 통상교섭본부장들의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 경제는 물론 글로벌 경제의 대격변이 예고된 만큼 통상 당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법,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둘러싼 대미국 협상에 철저하고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여한구·김종훈·박태호·유명희 전 통상교섭본부장을 초청해 미국 신정부 통상 정책 기조와 정책 전망, 한국의 통상 정책 대응 등을 주제로 한 좌담회를 열었습니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인 여한구 전 통상본부장은 '미국에서 바라본 미 대선 이후 한미 관계의 미래'를 주제로 화상 발표를 했습니다.
2021∼2022년 통상본부장을 지낸 여 전 본부장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국 상무관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개정 협상, 철강 232조 등에 직접 대응한 경험이 있습니다.
여 전 본부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초 예상과 달리 '레드 웨이브'(공화당 돌풍)를 몰고 오며 낙승함에 따라, 2기 행정부의 경제통상 아젠다는 '취임 100일' 이내에 강력하고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2기의 향후 정책 방향과 관련해서는 무역 적자 축소, 미국 제조업 부흥, 미중 패권경쟁 우위 확보 등 3대 목표하에 관세 등의 통상 정책을 핵심 수단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여 전 본부장은 "트럼프 2기는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드라이브를 걸 것"이라며 "민관의 위기 대응 시스템을 기민하게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1기에 비해 한국 기업의 미국 내 투자가 늘어나는 등 위상이 높아졌다"며 "충분히 위기를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2019∼2021년 통상본부장을 지낸 유명희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협상에 참여했던 경험을 공유하면서 "트럼프 정부가 양자 관계를 판단하는 척도는 무역 적자"라고 짚었습니다.
미국의 무역 적자국 8위인 한국이 트럼프의 1순위 고려 대상은 아니더라도 중국, 멕시코 등에 이어 타깃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유 전 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는 무역수지 적자를 해소하는 수단인 동시에 협상을 위한 레버리지"라며 "미국의 일방 조치에도 한국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협상에 나선다면 관세 면제 등의 요구사항이 반영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2006년 한미FTA 협상 수석 대표로 활약했던 김종훈 전 의원은 "미국은 한국 등 여러 나라들과 FTA를 체결한 상태이므로 보편관세 등을 도입해 기존 FTA를 폐기하거나 전면 수정하기는 쉬운 선택이 아닐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