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탄생한다면, 이런 '최초들'도 함께 겪게 될 것 [스프]

[뉴스페퍼민트] (글 :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에디터)

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글 :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에디터)
 

0827 뉴욕타임스 해설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가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현직 대통령이 전당대회를 한 달 앞두고 재선에 도전하지 않기로 한 초유의 사태가 가져올 수 있던 혼란을 고려하면, 짧은 시간 내에 러닝메이트를 지명하고, 유권자들에게 전할 메시지를 다듬어 공약을 발표하고, 유세에 돌입해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등 선거캠프를 성공적으로 꾸려 전당대회까지 치러낸 카멀라 해리스의 지난 한 달은 일단 성공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컨벤션 효과"라는 말이 있습니다. 전당대회 기간 혹은 전당대회가 끝난 직후에는 그 당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자연히 지지율도 오르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때 오른 지지율이 계속 유지될지 다시 내려갈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하겠지만, 전당대회 이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지지율이 다시 내려가는 게 보통입니다. 이번에도 8월은 해리스의 시간이라는 분석처럼 전당대회 앞뒤로 해리스와 민주당의 지지율이 예상대로 반등하거나 올랐지만, 이 흐름이 선거 때까지 이어지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래도 민주당은 제때 후보를 교체한 덕분에 트럼프와 앞서거니 뒷서거니 경쟁하는 선거 구도를 만들어 냈습니다. "미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탄생하는 순간이 다시 손에 잡힐 듯 말 듯한 거리까지 다가왔습니다.

해리스가 대통령이 된다면 자연히 함께 탄생할 다양한 "최초"의 기록들이 있습니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제시카 베넷은 이러한 "최초"가 가능한 원동력으로 해리스 주변에서 해리스가 돋보이도록 지원군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남성들에 주목했습니다. 시대가 요구하는 남성상이 바뀌었는지도 함께 고민해 본 칼럼입니다.
오늘은 칼럼에 언급한 해리스의 남편 더그 엠호프와 민주당 부통령 후보 팀 월즈, 그리고 미식축구 선수 트래비스 켈시가 주목받는 이유, 그리고 이들의 행동이 공화당과 트럼프 캠프에서 드러나는 "전통적인 남성상"과 어떻게 대비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해리스의 부군 엠호프는 미국 최초의 세컨드 젠틀맨이자, 최초의 퍼스트 젠틀맨을 꿈꾸는 인물입니다. 250년 가까이 된 미국 헌정사상 여성 부통령은 해리스가 처음이었습니다. 여성이 주요 정당의 대선 후보가 된 것도 해리스가 최초입니다. 후보를 돕는 배우자가 남성인 상황 자체가 그래서 매우 낯선 것도 사실입니다.

(사실 남성 대통령의 부인을 높여 부르는 '영부인'(令夫人)이란 단어는 남의 아내를 일반적으로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대통령의 부인이라 '영(領)부인'으로 부른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영(領)부인'은 사전에도 없는 말입니다. 여성 대통령의 남편을 '영남편'이라 부르는 건 근거 없는 일이고, 남의 남편을 일반적으로 높여 부르는 말은 부군이니, 영부인의 대칭어는 부군이 맞습니다. 처음이라 입에 붙지 않는 만큼 해리스가 당선될 경우 영어로 읽는 대로 퍼스트 젠틀맨이라 부를지, 부군이라 칭할지, 아니면 다른 칭호를 정할지는 논의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호칭이 정해질 때까지는 '부군'과 영어 호칭을 섞어 쓰도록 하겠습니다.)

엠호프는 지난 민주당 전당대회에 연단에 올라 짧지만, 인상적인 지지 연설을 했습니다. 연설뿐 아니라 유세 현장에서, 해리스가 부통령 후보가 된 순간부터 늘 배우자의 곁을 지키며 해리스의 "대표 치어리더"를 자처했습니다. 잘 나가던 할리우드의 변호사직을 내려놓고, 정치인 아내의 내조(內助)에 전념해 온 것부터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선택입니다.

내조라는 말 자체가 "(집안일 하는) 아내가 (바깥일 하는) 남편을 돕는다"는 뜻인데, 해리스와 엠호프 부부의 내조는 더 공적인 바깥일이 될 수밖에 없는 선출직 정치인에 도전하는 아내를 남편이 돕고 있으니, 전통적인 관점에서 보면 설명하기 복잡한 커플입니다. 물론 전통적인 관점에서나 그렇지, 성별을 빼놓고 생각하면 전혀 이상할 게 없습니다. 정치에 헌신한 뒤 능력을 인정받아 대통령 후보가 된 사람을 그 배우자가 돕는 건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니까요.

해리스와 엠호프 부부를 바라보는 시선에 관해 얘기하려면, 해리스가 결혼을 통해 꾸린 가족의 특징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해리스가 대통령 후보직을 수락한 지난 22일은 해리스와 엠호프 부부의 결혼 10주년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결혼은 카멀라 해리스에겐 첫 번째 결혼이지만, 더그 엠호프는 앞서 한 번 결혼했다 이혼한 적이 있고, 전 부인과 사이에서 낳은 자식도 둘이 있습니다. 엠호프의 딸 엘라와 아들 콜에겐 해리스가 새엄마인 셈이죠.

엠호프와 해리스는 "우리 가족은 미국에서 흔한 혼합 가족(blended family, 전 결혼에서 자녀와 새로 만난 파트너가 함께 사는 가족)"이라며, 어떻게 꾸린 가족이든 우리는 서로 사랑하는, 남들과 다를 바 없는 가족이라고 말했습니다. 피로 이어진 가족은 아니지만, 사랑으로 이어진 가족이라고 말하기도 했죠.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많아진 상황에서 지지자들은 반색했습니다.

물론 이렇게 가족의 범주를 확장하는 시도가 보수적인 관점에서는 불편해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도 두 차례 이혼해 현재 부인인 멜라니아 트럼프가 세 번째 배우자이므로, 트럼프 지지자들로선 엠호프의 이혼 이력을 비판하기 어렵습니다. 누워서 침 뱉기나 다름없으니까요. 논란은 공화당 부통령 후보 J.D. 밴스가 앞서 했던 발언이 다시 조명받으면서 커졌습니다. 밴스는 2021년 상원의원 후보 시절 폭스뉴스에 출연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카멀라 해리스나 피트 부티저지, AOC를 보면 모든 게 분명합니다. 민주당의 미래로 불리는 사람들이 죄다 아이가 없는 사람들이에요. 도대체 나라의 미래라 할 수 있는 아이를 낳거나 길러보지도 않은 사람들에게 나라의 미래를 맡긴다는 게 가당키나 한 일입니까?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